•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크 랑시에르의 관점에서 다시 읽는 『레 미제라블』 -아르케의 치안과 데모스의 정치- (Re-reading Les Misérables through the Lens of Jacques Rancière : ‘Police’ of ‘Arkhé’ and Politics of ‘Démo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0.04
34P 미리보기
자크 랑시에르의 관점에서 다시 읽는 『레 미제라블』 -아르케의 치안과 데모스의 정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 / 13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김성택

    초록

    작품의 배경과 재해석될 가능성을 살펴보면서 빅톨 위고의 『레 미제라블』이 왜 오늘날에도 고전으로 다시 읽히고 다른 장르의 예술로 각색되는지 그 이유를 밝혀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소설의 제목인 ‘비참한 사람들’은 가난과 무지로 인해 생겨난 사회의 어둠을 의미한다. 자크 랑시에르의 ‘데모스’ 개념에 따르면, 이 ‘비참한 사람들’은 ‘몫이 없는 자들les sans-part’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르케arkhé’의 ‘치안’과 ‘데모스démos’의 정치라는 개념을 적용하면서, 랑시에르의 관점에서 『레 미제라블』을 다시 읽도록 하겠다.
    위고가 관심을 갖고 수집한 여러 비참한 사람들과 그들을 대표하는 주인공 장 발장(Jean Valjean)에 관한 이야기는 ‘아르케’의 사회에 속하는 ‘몫이 없는 자들’의 이야기다. 또한 소설 속의 주요 사건인 1832년 6월 5일의 바리케이드 항쟁은 불평등에 대한 민중의 저항으로서 “몫이 없는 자들”의 몫을 찾기 위한 ‘데모스’의 정치무대로 읽힐 수 있다.
    랑시에르의 정치에 대한 정의는 원래부터 고정된 사회를 유지하려는 ‘아르케’의 ‘치안’과 이러한 고착된 불평등 사회를 넘어서려는 ‘데모스’의 정치로 요약되고, 이러한 정치적 개념들은 『레 미제라블』에 등장하는 자베르나 장발장 같은 인물들이 대표될 수 있었다. 물론 데모스의 해방을 실천하는 평등의 과정으로 정의되는 진정한 정치는 ‘데모스의 정치’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eks to explain why Victor Hugo's Les Misérables is even today constantly re-read as a classic and adapted to other genres by exploring the background of the work and examining its reinterpretative productivity. The title of the novel, that is, the ‘miserable people’, refers to a society gloomed with poverty and ignorance. According to Jacques Rancière's concept of 'démos', these ‘miserable people’ are the ‘sans-part’, those without a share. This paper offers a new reading of Les Misérables in the light of Rancière’s concepts of ‘police’ of ‘arkhé’ and politics of ‘démos.’In Les Misérables, Hugo narrates the stories of several miserable people and the protagonist Jean Valjean, who represents them, that is, the story of the ‘sans-part’ who belong to the society of ‘arkhé.’ Moreover, the climax of the novel, namely the Barricade Rebellion of June 5, 1832, can be read as the political stage of ‘démos’ where the ‘sans-part’ came to find a share to fight against inequality.
    Rancière's definition of politics can be summarized by the ‘police’ of ‘arkhé’ that maintains a society fixed from the outset and the politics of ‘démos’ that seeks to overcome such an inflexible and unequal society. These political concepts could be seen as embodied by the characters of Javert and Jean Valjean in Les Misérables. Of course, real politics, as defined as the equalization process for the liberation of the démos, can be said to be the ‘politics of démo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