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매량과 구매시점이 쾌락적 대안과 실용적 대안 간의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urchase Quantity and Timing on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0.09
32P 미리보기
구매량과 구매시점이 쾌락적 대안과 실용적 대안 간의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학회
    · 수록지 정보 : 마케팅연구 / 25권 / 3호 / 137 ~ 168페이지
    · 저자명 : 박세훈, 김문용

    초록

    본 연구는 미래에 발생할 소비를 위해 소비자들이 한 제품군 내 여러 대안들(즉, 쾌락적 대안들과 실용적 대안들)로 구성된 폭넓은 구색으로부터 다수의 품목들을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할 때,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선택 전략의 유형(동시 선택 전략 vs. 연속 선택 전략)에 따라 이들이 최종적으로 선택하게 되는 실용적 대안 대비 쾌락적 대안의 선택 점유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때 소비자의 정당화 필요성(이유제시 과업 없음 vs. 이유제시 과업 있음)과 조절초점(향상초점 vs. 방어초점)이 선택 전략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쾌락적 또는 실용적 대안 선택에 있어서 각각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설정되었다. 첫째, 연속 선택 전략을 사용하는 소비자보다 동시 선택 전략을 사용하는 소비자에게서 쾌락적(vs. 실용적) 대안의 선택 점유율이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가설 1). 둘째, 연속 선택 전략을 사용한 소비자보다 동시 선택 전략을 사용한 소비자에게 선택을 정당화하는 이유를 제시하라는 과업이 요구되면, 이유제시 과업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쾌락적(vs. 실용적) 대안의 선택 점유율이 더 많이 감소할 것이다(가설 2). 셋째, 동시 선택 전략을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예열방법을 사용하여 방어초점이 강하게 형성되면 예열방법을 사용하여 향상초점이 강하게 형성된 경우보다 쾌락적(vs. 실용적) 대안의 선택 점유율이 더 적게 나타나는 반면, 이러한 조절초점의 효과는 연속 선택 전략을 사용하는 소비자에게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가설 3).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각 제품군(우유, 음료수, 과자)마다 총 4개의 대안들(쾌락적 대안 2개, 실용적 대안 2개)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선택 전략에 따른 피험자의 선택 행동을 분석한 결과, (1)동시 선택 전략(vs. 연속 선택 전략) 조건의 피험자 집단에서 쾌락적(vs. 실용적) 대안의 선택 점유율이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2)동시 선택 전략(vs. 연속 선택 전략) 조건의 피험자 집단에게 선택을 정당화하는 이유를 제시하라는 과업이 요구(정당화 조건)되었을 때 이유제시 과업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통제 조건)에 비해 쾌락적(vs. 실용적) 대안의 선택 점유율이 더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동시 선택 전략(vs. 연속 선택 전략) 조건의 피험자 집단에게 예열방법을 사용하여 방어초점이 강하게 형성(방어초점 조건)되면 예열방법을 사용하여 향상초점이 강하게 형성(향상초점 조건)된 경우보다 쾌락적(vs. 실용적) 대안의 선택 점유율이 더 적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1, 2, 3은 모두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이론적․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미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Many of the most significant choices that people make ar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In choosing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we sometimes have the option of choosing a series ahead of time. At other times we make each decision singly, usually just before it is to take effect. Thus, consumers can use two choice strategies for the purchase of multiple items from a product class. In one strategy (i.e., simultaneous choices/sequential consumption), the consumer buys several items on one shopping trip and consumes the items over several consumption occasions; that is, when a series of choices are made simultaneously, typically most of items will not be consumed until later. Conversely, in the other strategy (i.e., sequential choices/sequential consumption), the consumer buys one item at a time, just before each consumption occasion; that is, a single choice from the same set is made in each period for immediate consumption. Simonson (1990) refers to the former choice mode as simultaneous choice and the latter as sequential choice.
    Previous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when people choose many items at once, they take more variety than when they choose them one at a time (e.g., Simonson 1990; Read and Loewenstein 1995). That is, consumers who make simultaneous purchases in a category and are uncertain about their future preferences tend to choose a variety of preferred items rather than multiple replicates of the most preferred item. Given that many of the decisions involve choices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hence, we can predict that the tendency to diversify portfolios of choices will result in a greater mix of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in simultaneous than sequential choices condition.
    However, the question of interest is how the choice strategies consumers use for the purchase of multiple items from a product class can affect the relative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option(s) consumers select. Thus,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how choice strategies (i.e., simultaneous choice strategy vs. sequential choice strategy) influence the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Prior research has found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justify hedonic consumption and easier to justify utilitarian consumption (e.g., Okada 2005; Prelec and Loewenstein 1998). Two reasons for this relative difficulty in justifying hedonic consumption are that (1) there is a sense of guilt associated with it and (2) its benefits are more difficult to quantify. Thus, consumers in the sequential choices condition for immediate consumption tend to select more utilitarian (vs. hedonic) options. However, people precommit to indulgence (or hedonic consumption) in the future in order to make sure they will not exert excessive self-control (Kivetz and Simonson 2002b). Thus, we predict that simultaneous choice mode for future consumption (vs. sequential choice mode for immediate consumption) will increase the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options (hypothesis 1).
    In addition, we make two predictions. First, because asking people to provide reasons for their choice amplifies the need for justification, and because such amplified need for justification evokes more guilt associated with the hedonic consumption, we predict that the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options will be attenuated more greatly in the simultaneous than sequential choices condition when consumers are asked to justify their choices (hypothesis 2). Second, building on the previous findings that attributes compatible with individuals' goal orientation tend to be overweighted in choice―that is, prevention-focused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han promotion-focused consumers to overweight utilitarian relative to hedonic attributes and select the option superior on these attributes (Chernev 2004), we predict that the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options will be more likely to decrease in the simultaneous choices condition when consumers are more prevention (vs. promotion) oriented, whereas the effects of promotion and prevention motivations on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will not be found in the sequential choices condition (hypothesis 3).
    These predictions were tested and confirmed in three experiments. Three product categories (i.e., milk, drink, and snack) were selected for three experiments. There were 12 hedonic/utilitarian options available, four in each product category; that is, each product category included two hedonic and two utilitarian options. In experiment 1, it was found that in all three product categories participants who made choices simultaneously for sequential consumption were more likely to select hedonic (vs. utilitarian) options than participants who made choices sequentially. In experiment 2, in all three product categories the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options were found to decrease more greatly in simultaneous than sequential choices condition when participants were under the justification (vs. no justification) condition. In experiment 3, when participants were under the prevention (vs. promotion) condition, in all three product categories the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options were found to decrease more greatly only in simultaneous choices condition. Consequently, hypotheses 1, 2, and 3 were all supported.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evelop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마케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