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노인의 걸음 수, 심박수, 에너지 소비량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트래커의 타당도 평가 (Validity of Wearable Trackers for Measuring Steps, Energy Expenditure and Heart Rate in Korean Elderly)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4.08
11P 미리보기
한국 노인의 걸음 수, 심박수, 에너지 소비량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트래커의 타당도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운동생리학회
    · 수록지 정보 : 운동과학 / 33권 / 3호 / 331 ~ 341페이지
    · 저자명 : 이미현, 이승희, 박세정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validity of a physical activity tracking device by comparing physical activity data from older adults, including the number of steps, energy expenditure, and heart rate (HR), with data obtained from research accelerometers, wearable watches, and mobile apps.
    METHODS: A total of 24 healthy older adults (aged 65-79 years) wore a wearable tracking device and used a respiratory gas analyzer while walking and running on a treadmill at speeds of 3.8 km/h, 4.8 km/h, 5.6 km/h, 6.4 km/h, and 8.0 km/h, in a randomized order.
    This study evaluated seven wearable devices: one research accelerometer (ActiGraph GT3X+), five smartwatches/fitness trackers (Sam sung Galaxy Watch Active 2, Fitbit Versa 2, Xiaomi Mi Band 4, Garmin Forerunner 945, and Apple Watch Series 2), and one mobile application. Step counts were measured directly, HR was compared using a Polar H7 HR Sensor, and energy expenditure was assessed using a Quarkb2 respiratory gas analyzer.
    RESULTS: Commercial wearable watches and mobile applications were more accurate than research-grade accelerometers for monitoring steps during walking and running in older adults. HR measurements from wearable watches were more accurate than those from reference devices. Although energy expenditure measurements from mobile applications and wearable watches were less accurate than measurements of steps and HRs their accuracy was comparable to that of research-grade accelerometer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strengths of using wearable devices in healthcare and fitness fields, which seek to monitor and actively manage the physical activity of older adults using wearable trackers.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validity of a physical activity tracking device by comparing physical activity data from older adults, including the number of steps, energy expenditure, and heart rate (HR), with data obtained from research accelerometers, wearable watches, and mobile apps.
    METHODS: A total of 24 healthy older adults (aged 65-79 years) wore a wearable tracking device and used a respiratory gas analyzer while walking and running on a treadmill at speeds of 3.8 km/h, 4.8 km/h, 5.6 km/h, 6.4 km/h, and 8.0 km/h, in a randomized order.
    This study evaluated seven wearable devices: one research accelerometer (ActiGraph GT3X+), five smartwatches/fitness trackers (Sam sung Galaxy Watch Active 2, Fitbit Versa 2, Xiaomi Mi Band 4, Garmin Forerunner 945, and Apple Watch Series 2), and one mobile application. Step counts were measured directly, HR was compared using a Polar H7 HR Sensor, and energy expenditure was assessed using a Quarkb2 respiratory gas analyzer.
    RESULTS: Commercial wearable watches and mobile applications were more accurate than research-grade accelerometers for monitoring steps during walking and running in older adults. HR measurements from wearable watches were more accurate than those from reference devices. Although energy expenditure measurements from mobile applications and wearable watches were less accurate than measurements of steps and HRs their accuracy was comparable to that of research-grade accelerometer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strengths of using wearable devices in healthcare and fitness fields, which seek to monitor and actively manage the physical activity of older adults using wearable trac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