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SSP5-8.5 기반 일 강수량 보정 및 미래 예측을 위한 분위사상법 비교 (Comparison of quantile mapping methods for daily precipitation correction and future projections under the SSP5-8.5)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4.12
15P 미리보기
SSP5-8.5 기반 일 강수량 보정 및 미래 예측을 위한 분위사상법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수자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 57권 / 12호 / 1069 ~ 1083페이지
    · 저자명 : 송영훈, 정은성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61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4개(Parametric Linear, PL; Parametric Scale, PS; Empirical Quantile Mapping, EQM; Multivariate Bias Correction using N-dimensio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ransform, MBCn)의 Quantile Mapping (QM)방법을 사용하여 일 강수량을 보정하고 6개(r10 mm, r20 mm, SDII, R95ptot, R99ptot, Rx1day)의 강수 지수와 5개(Percent bias, Mean absolute error, Kling-Gupta efficiency, Euclidean Distance, Jensen-Shannon divergence)의 평가지표를 통해 14개의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CMIP)6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의 과거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다기준의사결정기법 중 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OPSIS)를 사용하여 GCM의 성능 기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entropy 이론을 적용하여 평가 요소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미래 예측에서는 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5-8.5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각 GCM과 QM 방법에 따른 미래 강수량을 예측하고 TOPSIS 가중치에 기반한 Muli-Model ensemble을 구축하였다. 더 나아가, Reliability ensemble averaging을 통해 각 QM 방법별로 예측된 미래 강수량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MBCn과 EQM은 과거 재현성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극한 강수 사상에 대한 보정 성능이 뛰어났다(MBCn-EVS:0.99, KGE:0.99, Pbias:0.42; EQM-EVS:0.94, KGE:0.97, Pbias:-1.2). 반면, PL은 재현성과 극한 강수량 보정 성능 모두 가장 낮았으며 관측값보다 최대 500 mm 이상 차이났다. MBCn의 미래 강수 예측은 SSP5-8.5의 온실가스 배출 추세를 잘 반영하였으나 PL은 극한 강수 사상에 대해서 전혀 반영하지 못했다. 또한, 신뢰도 분석에서 MBCn은 0.51로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인 반면, PL은 0.016으로 가장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편의보정 방법의 비교 및 불확실성 정량화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 예측의 신뢰성을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 수립 및 수자원 관리 전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pplied four Quantile Mapping (QM) methods (Parametric Linear, PL; Parametric Scale, PS; Empirical Quantile Mapping, EQM; and Multivariate Bias Correction using N-dimensio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ransform, MBCn) to correct daily precipitation data from 61 stations in South Korea. The performances of these methods were evaluated using six precipitation indices (r10 mm, r20 mm, SDII, R95ptot, R99ptot, and Rx1day) and five evaluation metrics (Percent bias, Pbias; Mean absolute error, MAE; Kling-Gupta efficiency, KGE; Euclidean Distance, ED and Jensen-Shannon divergence, JSD) for 14 General Circulation Models (GCMs) from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CMIP6). Additionally, the 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OPSIS), a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ethod, was used to rank the GCMs based on performance. The entropy theory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weights for each evaluation criterion. For future projections, the 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 5-8.5 scenario was used to predict future daily precipitation for each GCM and QM method, and a Multi-Model Ensemble was constructed based on TOPSIS weights. Furthermore, the uncertainty of future precipitation projections for each QM method was quantified using Reliability Ensemble Averaging (REA). The results showed that MBCn and EQM performed the highest in historical reproducibility, particularly in correcting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MBCn-EVS:0.99, KGE:0.99, Pbias:0.42; EQM-EVS:0.94, KGE:0.97, Pbias:-1.2). In contrast, PL showed the lowest performance, with differences from observed values exceeding 500 mm, indicating significantly lower reproducibility and extreme precipitation correction compared to other methods. MBCn's future precipitation projections effectively reflected the greenhouse gas emission trends in the SSP5-8.5 scenario, while PL failed to account for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Additionally, MBCn exhibited the highest reliability in uncertainty analysis at 0.51, while PL showed the lowest at 0.016. This study enhances the reliability of precipitation projections under climate change through the comparison of bias correction methods and the quantification of uncertaintie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policy-making and water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