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숲 및 정원 주요 관목의 탄소흡수계수 개발 및 탄소저장량과 흡수량 비교 - 회양목, 화살나무, 사철나무, 산철쭉, 조팝나무를 대상으로 - (Sequestration Factors Development and Comparison of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Shrubs for Urban Forests and Gardens - Buxus sinica, Euonymus alatus, Euonymus japonicus, Rhododendron yedoense and Spi)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2.12
9P 미리보기
도시숲 및 정원 주요 관목의 탄소흡수계수 개발 및 탄소저장량과 흡수량 비교 - 회양목, 화살나무, 사철나무, 산철쭉, 조팝나무를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26권 / 4호 / 131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학구, 김형섭, 홍용식, 윤이슬, 임윤경, 강신구, 김찬범

    초록

    도시숲과 정원은 보건 및 휴양기능은 물론, 도시환경보전, 방재, 경관 등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다. 기후위기 시대에 도시숲과 정원은 신규 탄소흡수원으로 역할이 부각되고 있어 식재하는 주요 관목류의 탄소저장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충청권 지역에서 생산 및 재배된 5종 250개체를 측정‧분석하였으며, 산철쭉, 사철나무, 조팝나무, 화살나무, 회양목이다. 탄소흡수계수 개발 결과, 목재기본밀도는 조팝나무(0.78g/㎤), 회양목(0.47g/㎤), 화살나무(0.46g/㎤), 산철쭉(0.44g/㎤), 사철나무(0.41g/㎤) 순으로 산출되었으며, 불확도는 9.98∼21.05%로 나타났다. 바이오매스확장계수는 산철쭉(4.99), 화살나무(4.77), 조팝나무(4.56), 회양목(3.38), 사철나무(3.14) 순으로 산출되었으며, 불확도는 11.34∼16.53%로 나타났다. 뿌리함량비는 회양목(5.00), 사철나무(2.86), 산철쭉(2.57), 조팝나무(1.81), 화살나무(1.74) 순으로 산출되었으며, 불확도는 6.88∼12.43%로 나타났다. 탄소함량비는 회양목(46.78%), 조팝나무(42.88%), 산철쭉(42.41%), 화살나무(40.83%), 사철나무(40.31%) 순으로 산출되었다. 모두 IPCC(2006)에서 권장하는 30% 이하의 불확도를 나타냈으나 보다 신뢰성 높은 결과와 국가고유계수 등록을 위해서는 시료의 반복수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개체당 평균 탄소저장량은 화살나무(175.17g‧C), 사철나무(141.54g‧C), 조팝나무(136.90g‧C), 회양목(91.70g‧C), 산철쭉(54.85g‧C) 순으로 산정되었으며, 개체당 연평균 탄소흡수량은 화살나무(214g‧CO2‧yr-1), 사철나무(173.00g‧CO2‧yr-1), 조팝나무(167.32g‧CO2‧yr-1), 회양목(112.08g‧CO2‧yr-1), 산철쭉(67.04g‧CO2‧yr-1) 순으로 산정되었다. 연구결과는 도시숲과 정원에 조성된 관목의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Urban forests and gardens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health and recreation functions, as well as urban environmental conservation, disaster prevention, and landscape. With the recent arrival of the climate crisis, the functions of urban forests and gardens as carbon sinks are in the spotlight,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estimating carbon storage by developing carbon sequestration factors of major shrubs planted. The material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direct harvesting of 250 objects of five species produced and cultivated in the same environment in Chung-cheong area, and the species are Buxus sinica, Euonymus alatus, Euonymus japonicus, Rhododendron yedoense and Spiraea prunifolia.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he carbon sequestration coefficient, the basic wood density was calculated in the order of S. prunifolia(0.78g/㎤), B. sinica(0.47g/㎤), E. alatus(0.46g/㎤), E. japonicus(0.44g/㎤), R. yedoense(0.41g/㎤) and the uncertainty was from 9.98 to 21.05%. The biomass conversion expansion factor was calculated in the order of R. yedoense(4.99), E. alatus(4.77), S. prunifolia(4.56), B. sinica(3.38), E. japonicus(3.14) and the uncertainty was from 11.34 to 16.53%. The ratio of below-ground biomass to above-ground biomass was calculated in the order of B. sinica(5.00), E. japonicus(2.86), R. yedoense(2.57), S. prunifolia(1.81), E. alatus(1.74) and the uncertainty was from 6.88 to 12.43%. The carbon fraction of dry matter is B. sinica(46.78%), S. prunifolia(42.88%), R. yedoense(42.41%), E. alatus(40.83%), E. japonicus(40.31%). All showed less than 30% uncertainty recommended by the IPCC(2006), with reliable results and national specificity.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samples in order to register the number. The average carbon storage per shrub was calculated in the order of E. alatus(175.17g‧C), E. japonicus(141.54g‧C), S. prunifolia(136.90g‧C), B. sinica(91.70g‧C), and R. yedoense(54.85g‧C), and the average annual carbon uptake per shrub was calculated in the order of E. alatus(214g‧CO2‧yr-1), E. japonicus(173.00g‧CO2‧yr-1), S. prunifolia(167.32g‧CO2‧yr-1), B. sinica(112.08g‧CO2‧yr-1), R. yedoense(67.04g‧CO2‧yr-1). Study results can be useful as a basic data to calculate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urban forests and garde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산림휴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