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聚分韻略』제본에 걸친 류(流)섭운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Kana Notations of the Rhyme Group Liu(流) in Four Editions of the Shubun-Inryaku)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4.11
19P 미리보기
『聚分韻略』제본에 걸친 류(流)섭운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25권 / 4호 / 231 ~ 249페이지
    · 저자명 : 안동니(安東妮), 이경철

    초록

    본고에서는 『취분운략』 4개본의 류섭운에 나타나는 자음형에 대해 한음・오음자료와 비교・분석하여, 그 계통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개구1등 후(侯)운은 4개본 모두 대부분은 -ou형으로 출현하여 한음으로 주기되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일부 오음과 같은 -u형이 혼재한다. 또한 명(明)모자에는 오음과 한음이 혼합된 형태인 [モウ]라는 자음형을 취한 것이 보인다. 그 밖에 투(透)의 [チウ偷鍮緰]에 대해 누모토 카쓰아키(沼本克明)沼本克明, 『日本漢字音の歴史的研究』, 汲古書院, 1997, 189면.
    는 우(虞)운과의 상통일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2) 개구3등 우(尤)운 을류는 4개본 모두에서 -iu형으로 기재하고 있으며, 순음자의 방·방·병(幫·滂·竝)모는 -u형으로 명(明)모자는 -ou형으로 기재하고 있어 한음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으며, 일부 [ク咎]와 같은 -u형의 오음이 혼입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3) 개구3등 우(尤)운 갑류는 4개본에서 모두 -iu형, -ju형으로 기재하고 있어, 그 성모를 통해서 오음・한음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은 낭(娘)모와 일(日)모이다. 낭(娘)모는 [チウ, ジユウ, シユウ, シウ]와 같은 4가지 형태로 출현하는데, 이는 모두 오음의 [ニウ>ニュウ]와 대별되는 한음으로 볼 수 있으며, 일(日)모의 [シウ蹂揉柔, ジウ柔鶔蹂揉]는 한음으로, [ニウ蹂楺]는 오음으로 볼 수 있다.
    4) 개구3등 유(幽)운은 『취분운략』의 4개 본에서 주로 -iu형으로 출현하여 한음 주기를 원칙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ヨウ幼]와 같은 오음이 일부 혼입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5) 류섭운은 『취분운략』의 4개 본에서 큰 차이가 보이지 않으며, 대부분 한음 주기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다만 『취분운략』의 4개 본에서 대부분은 오음이 일부 혼입되어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phonetic forms of characters in the Group Liu(流) as found in the four editions of Shubun-Inryaku(聚分韻略),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m with Go’on and Kan’on source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or the first open rhyme Hou(侯), in all four editions, the most common form is the -ou type, which is typically annotated as Kan’on. However, there are some instances where the -u type, similar to Go’on, is mixed in. Additionally, in characters with the initial Ming(明), there are forms such as [モウ(mou)] where both Go’on and Kan’on features are combined.
    For the B type of the third open rhyme You(尤), all four editions record the phonetic form as the -iu type. In characters with the labial initials Bang(幫), Pang(滂), and Bing(竝), the -u type is used, while in characters with the initial Ming(明), the -ou type is recorded, reflecting Kan’on faithfully. However, there are some instances, such as [ク(ku)咎], where the -u type, typical of Go’on is mixed in.
    For the A type of the third open rhyme You(尤) all four editions record the phonetic forms as -iu and -ju types. The distinction between Go’on and Kan’on can be made based on the initials Niang(娘) and Ri(日). The initial Niang(娘) appears in four forms: [チウ(chiu), ジユウ(jyuu), シユウ(shyuu), シウ(shiu)], which can all be considered Kan’on, contrasting with the Go’on form [ニウ(niu)>ニュウ(nyuu)]. For the initial Ri(日), [シウ(shiu)蹂揉柔, ジウ(jiu)柔鶔蹂揉] are considered Kan’on, while [ニウ(niu)蹂楺] is identified as Go’on.
    For the third open rhyme You(幽), in all four the most common form is the -iu type, indicating a preference for Kan’on annotations. However, there are some instances where Go’on forms, such as [ヨウ(you)幼], are mixed in.
    Overall, the Group Liu(流) across the four editions of Shubun-Inryaku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most phonetic annotations following Kan’on principles. However, in all four editions, there are instances where Go’on forms are mixed 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