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의 對南朝 외교 전략과 遼西經略 기사 (Baekje’s diplomatic strategy against the Southern dynasty and records of Liaoxi governanc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3.03
44P 미리보기
백제의 對南朝 외교 전략과 遼西經略 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09호 / 231 ~ 274페이지
    · 저자명 : 안정준

    초록

    그동안 백제의 遼西 경략 기사들은 백제의 입장을 중심에 두고 논의되었으며, 정작 이를기록에 남긴 남조의 정치적 입장이나 기술 의도에 대한 검토는 부족했다. 그러나 이 주제는 단순히 요서 경략의 사실성 문제를 넘어서, 5세기에 치열하게 전개된 동아시아 각국의 외교전략과 상호인식이라는 주제 속에서 논의되어야한다.
    남북조시대에는 그 특수한 정세 속에 주변국들의 자의적 조공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들은 치열한 외교전 속에서 중국왕조에 藩國으로서의 충성을 과시하는 동시에 자국의 전략적 위상을 높이기 위한 과장된 정보들을 전래하기도 했다. 그러나 유송 이래 남조국가들은북위와의 치열한 군사적 대립 속에서 주변 정세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었다. 따라서 조공국들이 남조 측에 보낸 다양한 허위 정보들이 단순히 그들을 기만하기 위한 의도였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5세기 후반에 고구려·백제·왜 등이 남조에 보낸 다양한 정보들, 예컨대 僞使(가짜 사신) 를 대동하거나 상표문 속에 허구의 情勢를 기재한 것 역시 정황상 남조 측에 의해 그 진위가파악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남조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온 상징적인 조공국의 入 貢(僞使), 혹은 조공국의 우호적인 內屬 요청에 상당히 관용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는남조가 조공국의 전략적 허위 정보를 이용해 中華 중심으로서의 국제적 권위 및 대내적 안정을 기하기도 했던 것에 기인한다. 이처럼 양국의 호혜적 협력관계 속에 만들어진 외교적虛像은 곧 ‘진실’처럼 역사서에 남기도 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4~6세기에 나타나는 주변국들의 허위 傳言은 책봉국에 대한 일방적인 欺瞞이아닌, 양국의 정치적 의중을 감안한 상호절충의 결과물이자, 당시 동아시아 외교에서 벌어진 일종의 관행이었다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의 요서 경략과 관련된 기록들 역시 바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서에 남겨진 것으로 파악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Articles on Baekje’s Liaoxi governance so far have discussed from Baekje’s point of view, so there is a lack of review of the Southern dynasty’s political position or description intention who wrote the article. However, this should be discussed as a topic of diplomatic strategy among East Asian countries fiercely developed in the fifth century and mutual recognition, beyond the matter of historicity of Liaoxi governance.
    There were voluntary tributes of neighboring countries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eriod due to the unusual circumstances. In a fierce diplomatic game, they displayed their royalty as one of vassal states and released exaggerated information to strengthen their stature strategically. Nevertheless, Southern dynasties since Song dynasty were collecting generally accurate information on surrounding situation under the military confrontation with Northern Wei.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various false information spread by the vassal states to the Southern dynasties was to simply deceive them.
    Given the circumstances, it is understood that the Southern dynasties were also aware of the authenticity of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sending fake envoys(僞使) or writing false situations in the letters to the emperor sent by Goguryeo, Baekje, and Wa in the late fifth century. Southern dynasties showed magnanimous attitude towards symbolic tributes(fake envoys) of vassal states from afar or amicable requests for becoming a tributary. The southern dynasties pursued international authority centered on China and the stability of domestic regime by using strategic false information from the tributaries, and the diplomatic illusions created in a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remained in the history books as “truth”.
    The diplomatic propaganda of neighboring countries spread in the fourth to sixth centurie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viewpoint that it was not a one-sided deception against the governing states, but the result of mutual compromise considering the political will of both countries and a kind of practice in East Asian diplomacy at the time. Articles on Baekje’s Liaoxi governance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as being written in the historical rec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