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정은의 핵정책 변동(2009-2023): “신랭전”과 「급진적 내부균형」의 핵정책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Kim Jong Un’s nuclear policy (2009-2023): Toward Radicalized Internal Balancing)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4.03
46P 미리보기
김정은의 핵정책 변동(2009-2023): “신랭전”과 「급진적 내부균형」의 핵정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64권 / 1호 / 287 ~ 332페이지
    · 저자명 : 이종주

    초록

    북한은 2008년 미국에서 시작된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가 운위되기 시작하자, 이때부터 이러한 변화를 미국과 중국, 러시아 등 강대국들이 경쟁하며 탈냉전 이후 지속된 ‘미국의 1극화 질서’가 흔들리는 “신랭전”의 등장으로보았다. 이후 북한은 미중 경쟁이 무역, 첨단기술, 군비, 가치・규범 등 제반영역으로확산되고 전략경쟁으로 심화되는 것을 보면서, 국제체제가 “신랭전”을 향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북한의 인식은 김정은이 당 전원회의와 최고인민회의 공식보고에서 국제체제가 “신랭전” 체계로 “변화”(2021), “전환”(2021)되고, “전지구적 범위에서 현실화 되었다”(2023)고 규정하는데 이르렀다. 북한은 초기에는 “신랭전”을 기회이자, 위협이라는 양면적 관점에서 바라보았으나, 핵무력이 증대되면서 기회로 보는 관점이 지배적이 되었다.
    김정은은 후계자 지위가 공식화된 2009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 국제체제가 “신랭전” 체계로 변화하는데 조응하여, ① 핵무력 건설을 북미관계 개선에 앞세우며, 국가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국가핵무력 완성’을 향해 질주하는 「전면적 내부균형」의핵정책(2009-2017)에서, ② 핵무력을 완성한 ‘핵전략국가’ 지위를 주장하며 미국에 대한 편승과 중국, 러시아와의 외부균형을 동시에 추구하는 「편승-균형」의 병행 (2018-2019)으로, ③ 한미일 대(對) 북중러 대립구도를 이용하여 ‘국가핵무력 고도 화’를 향해 질주하는 「급진적 내부균형」의 핵정책(2020-2023)으로 변동해 왔다.
    김정은의 핵정책은 이러한 변동성을 보이며 정책목표와 수단, 운용전략 등의 모든 측면에서 급진화 되어 왔다. 김정은의 「급진적 내부균형」의 핵정책은 국가자원을핵무력 증강에 집중시키고, 한반도에서 위기를 조성하며, 미중 갈등을 증폭하고, 한미일 대 북중러 대립구도를 부추기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북한의 핵무력 고도화 단계를 감안할 때, 국제사회는 북한의 위기 조성 시도가 핵 위기로 확산될 위험을 억제할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을 서둘러 강구해야 한다.

    영어초록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international politics have largely been dominated by a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US) and China. This competition has shifted the international system from a US-led unipolar hegemony to US-China bipolar competition. Russia has also gradually returned to the world stage as a great power. In particular, Russia’s invasion of Ukraine in 2022 has accelerated the intense great power competition in the international system. With the rise of China and the resurgence of Russia, the world is now facing the following three dominant shift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1) multipolarization, in which a number of great powers, including the US, China and Russia, are competing; 2) the division of the world into rigid blocs of democracy and authoritarianism; and 3) the intensification of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democratic bloc and the authoritarian bloc. Witnessing these global changes, Kim Jong-un perceived that “a new Cold War” had emerged and become a reality on a global scale. Initially, Kim believed that this shift presented the North with both opportunities and threats. However, as North Korea’s nuclear forces have grown, he has come to see the emergence of a new Cold War primarily as an opportunity. In order to benefit from a new Cold War, Kim believed that he needed to rapidly achieve nuclear capability that would force the US, China and Russia to recognize North Korea as a strategic partner and not abandon it. From 2009 to 2017, Kim Jong-un made every effort to complete his nuclear development. By declaring the completion of North Korea’s nuclear arsenal in 2017, Kim concluded a period of full-fledged internal balancing and entered a new phase from the beginning of 2018. He enthusiastically reached out to Republic of Korea, the US, China and Russia to reshape the security order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North’s favor. Unfortunately, Kim failed in this ambitious journey with the “Hanoi No Deal” in 2019. By declaring a “frontal war” against the US at the end of 2019, Pyongyang returned to full-fledged internal balancing. Since then, until 2023, North Korea has been fully committed to developing its nuclear capability in cooperation with China and Russia. During this period, Kim Jong-un has followed the same path of full-fledged internal balancing from 2009 to 2017, but he has radicalized every aspect of his nuclear policy. This will lead to a more dangerous future on the Korean peninsula. Given the North’s growing nuclear force and aggressive nuclear polic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now prepare to deter any possibility that North Korea’s provocation could escalate into a nuclear cri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