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거 기반 나트륨 저감 건강 식생활 프로그램의 리빙랩 모델 적용 (Application of a living lab model to an evidence-based reduced-sodium healthy eating practice program in Korea: a pre-post study)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5.02
11P 미리보기
근거 기반 나트륨 저감 건강 식생활 프로그램의 리빙랩 모델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30권 / 1호 / 53 ~ 63페이지
    · 저자명 : 김정현, 심유진, 경민숙, 권수연, 박형수, 강재헌

    초록

    Objectives To apply a healthy dietary program with reduced sodium intake, developed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ocusing on the sodium intake level and eating patterns.
    Method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using a living lab model, an open innovation ecosystem for user-centered problem-solving. Analysis of the KNHANES data revealed that older age groups had a low energy intake but a high sodium intake, particularly among those who frequently dined out.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sodium-reduction literacy and enhance practical competency. Over four weeks, 40 participants tracked their dietary intake and worked with a clinical nutritionist through a process of diagnosis, experience, improvement, and expansion.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assess effectiveness.
    Results Participants were four teenagers (10%), 26 in their twenties (65%), and 10 aged ≥ 30 years (25%), with eight males (20%) and 32 females (80%). Post-program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P < 0.01), with increased agreement on adopting low-sodium intake practices (e.g., interest in sodium content, choosing lower-sodium foods). Nutrient intake analysis showed a decrease in energy, carbohydrates, lipids, and proteins (P < 0.001), with sodium intake decreasing from 3,382.37 mg/d to 2,119.05 mg/d (P < 0.001).
    Conclusion The community-based, living lab model for the sodium-reduction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participant sodium-reduction literacy and practical competency, suggesting that step-by-step, autonomous learning, can reduce sodium intake and promote healthier eating habits.

    영어초록

    Objectives To apply a healthy dietary program with reduced sodium intake, developed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ocusing on the sodium intake level and eating patterns.
    Method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using a living lab model, an open innovation ecosystem for user-centered problem-solving. Analysis of the KNHANES data revealed that older age groups had a low energy intake but a high sodium intake, particularly among those who frequently dined out.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sodium-reduction literacy and enhance practical competency. Over four weeks, 40 participants tracked their dietary intake and worked with a clinical nutritionist through a process of diagnosis, experience, improvement, and expansion.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assess effectiveness.
    Results Participants were four teenagers (10%), 26 in their twenties (65%), and 10 aged ≥ 30 years (25%), with eight males (20%) and 32 females (80%). Post-program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P < 0.01), with increased agreement on adopting low-sodium intake practices (e.g., interest in sodium content, choosing lower-sodium foods). Nutrient intake analysis showed a decrease in energy, carbohydrates, lipids, and proteins (P < 0.001), with sodium intake decreasing from 3,382.37 mg/d to 2,119.05 mg/d (P < 0.001).
    Conclusion The community-based, living lab model for the sodium-reduction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participant sodium-reduction literacy and practical competency, suggesting that step-by-step, autonomous learning, can reduce sodium intake and promote healthier eating hab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