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만을 주고받은 상태에서 토지거래허가를 받았다면 매도인이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고 그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다62427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Behördegenehmigung über einen Kaufvertrag eines im Handel kontrollierten Grundstücks und Rücktritt durch Reugeld - kritische Betrachtung über eine Entscheidung des höchsten Gerichtshofes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1.08
32P 미리보기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만을 주고받은 상태에서 토지거래허가를 받았다면 매도인이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고 그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지 여부 -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다62427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28권 / 2호 / 77 ~ 108페이지
    · 저자명 : 이준현

    초록

    우리 민법 제565조는 매매의 당사자 일방이 계약 당시에 계약금 등을 상대방에게 교부한 때에는 당사자 간에 다른 약정이 없는 한 당사자의 일방이 ‘이행에 착수할 때’까지 교부자는 이를 포기하고 수령자는 그 배액을 상환하여 매매계약을 해제하는 것을 허용하고있다. 그 결과 매수인은 계약금을 포기하고 매도인은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여 계약의구속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그런데 이 조문에 있어서 계약 해제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인 ‘이행에 착수할 때’가 구체적으로 어느 때를 말함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우리 대법원은매우 흥미로운 판결 하나(대법원 2009. 4. 23. 선고 2008다62427 판결)를 내린 바 있다. 이판결에 있어서는 매도인이 계약금의 배액의 상환에 의하여 계약을 해제하기 전에 매수인이 이미 그 매매계약에 대하여 관할관청으로부터 토지거래의 허가를 받았는바, 이것을매매계약의 ‘이행에 착수’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가 당사자 간에 문제되었다. 원심판결과 달리 대법원은 매수인이 위 매매계약에 대하여 토지거래허가를 받은 사정만으로는아직 이행의 착수가 있다고 볼 수 없다고 한다. 그 결과 매도인은 민법 제565조에 정한대로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여 매매계약을 해제하게 되었다. 대법원은 그 논거로서 ① 민법 제565조에서의 ‘이행’의 개념을 이행지체와 해제에 관한 민법 제544조 소정의 ‘이행’의개념과 달리 볼 아무런 근거가 없다는 점, ② 그 허가를 받은 단계에서 이미 이행의 착수가 있다고 보게 되면 당사자 쌍방 모두에게 해제권의 행사 기한을 부당하게 단축시키는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이 논문은 위 대법원판결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위 대법원판결은 민법 제565조의 운용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우리 대법원이 취해온 태도와 일치하지 않으며, 또 그 결론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제시된 근거들도 적절하지 않다. 그밖에 우리 민법 제565조는 의용민법(현행 일본민법) 제557조를 그대로 계수한 것인바, 일본 민법제557조의 운용에 있어서 우리 대법원과 같은 흐름에 있는 일본 최고재판소는 유사한 사건에서 평석대상 대법원 판결의 결론에 정면으로 반하는 판결을 내린 바 있어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였다.

    영어초록

    Im § 565 KBGB handelt es sich um Reugeld und der Artikel ist wie folgendes geschrieben : "① Hat der eine Teil dem anderen beim Abschluß des Kaufvertrages eine Geldsumme oder eine Sache als Draufgabe oder Haftgeld usw. für den Abschluß des Kaufs gegeben, so kann der Rücktritt vom Kauf, sofern nichts anderes vereinbart ist,nur dadurch erfolgen, daß der Geber bis zum Beginnen der Erfüllung auf das Geleistete verzichtet und daß der Empfänger dem Geber das Doppelte des von ihm empfangenen Betrages zurückgibt. ② Im Falle des Absatzes 1 findet die Vorschrift des § 551 KBGB keine Anwendung.” Demzufolge kann der Käufer gegen Zurücklassung des bezahlten und der Verkäufer gegen Erstattung des doppelten Betrages vom dem Vertrag zurücktreten. Das Reugeld gemäss § 565 KBGB wirkt also die Bindungswirkung von Obligationen schwächend, da damit die Möglichkeit einer willkürlichen Lösung einer Partei von einem gültigen Vertrag bereits zum Bestandteil des Vertragsschlusses gemacht wird.
    In diesem § 565 KBGB ist doch die Bedeutung des “bis zum Beginnen der Erfüllung”unklar, obwohl der Teil des Absatzes 1 zur Entscheidung darüber wichtige Rolle spielt,ob der Geber oder Empfänger des Reugeldes Rücktrittsbefugnis ausüben kann.
    Neuerlich hat der koreanische höchste Gerichtshof wie folgendes eine Entscheidung gegeben : Ist die Behördegenehmigung über den Kaufvertrag gegeben, in der Situation, daß ein Kaufvertrag zwischen einem Kaufer und einem Verkaufer uber den im Handel kontrollierten Grundstuck geschlossen und Reugeld gegeben worden ist, kann der Verkaufer gegen Erstattung des doppelten Betrages vom dem Vertrag zurucktreten.
    In dieser Arbeit wird die oben erzahlte Entscheidung kritisiert. Sie stoßt sich gegen die bisherige Entscheidungstendenz des hochsten Gerichtshofes. Und zwar ist die rechtliche Grundlage der Entscheidung ungeeignet. Außerdem trifft die Entscheidung rechtsvergleichend nicht z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