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인 교사 야노 쿠니타로[矢野國太郞]의 조선 인식과 경성 향토자료 서술 (Japanese teacher Yano Kunitaro's perception of Korea and description of local materials in Seoul)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10
50P 미리보기
일본인 교사 야노 쿠니타로[矢野國太郞]의 조선 인식과 경성 향토자료 서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118호 / 123 ~ 172페이지
    · 저자명 : 문지은

    초록

    야노 쿠니타로는 후쿠오카 사범학교 재학 시절부터 지리연구에 관심을 갖고 답사와 저술 활동을 하였다. 그가 저술한 「아소등산」과 「경부철도안내: 남한여행기」는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그의 신념을 확인할 수 있다. 야노는 조선을 일본 대외팽창의 시작점인 동시에 일본인들이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개척지로 여겼다. 반면 당시 많은 일본인들이 갖고 있던 편견 속에서 한국인의 ‘게으름’과 ‘야만성’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다. 그는 일본 식민정책론자들의 논리를 내면화시켜 일본인의 대외팽창은 국민적 사명이며, ‘야만의 땅’ 한국이 일본인에게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될 수 있음을 강하게 의식하였다. 사범학교 졸업 이후 그가 한국으로 건너 와 교사로 일하게 된 데는 이러한 신념이 바탕을 이루었을 것으로 보인다.
    야노는 1910년대 경성에서 일본인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경성 향토자료를 서술하였다. 야노의 향토자료 서술은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를 전후하여 일본 이주민을 조선에 영주시켜 식민 지배를 공고히 하려던 조선총독부의 정책과 관련되어 있었다. 조선총독부는 식민통치의 성과를 선전하기 위해 조선물산공진회를 개최하였고 ‘교육부’에서 지역 학교의 향토교육 자료를 전시하였다. 이는 지역 발전을 홍보하는 수단이 되는 동시에 학생들에게 일본 국민성을 기르는 교육 소재로 인정받았던 것이다. 조선의 일본인 학생 향토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조선총독부 학무국 편집과장 오다 쇼고에 의해 먼저 주장되었다. 그는 ‘내지’에 대한 애향심을 강조하는 기존의 소학교 교육이 조선총독부의 척식 사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조선을 ‘향토’로 삼고 조선에 대한 내용을 가르쳐서 조선에 대한 애향심을 일본인 학생들에게 양성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조선의 일본인 학생들이 신영토인 조선에 대한 애향심을 가져야 안정적인 조선 통치가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오다 쇼고의 향토교육론에 맞추어 야노 쿠니타로는 경성 향토자료로서 학생용 교재 「경성향토독본」과 교사용 참고서 「경성의 역사」를 저술하였다. 그는 경성 향토자료에서 일본에 병합되기 이전 경성의 역사를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한편 일본인 선조들이 새로운 영토를 개척하려던 노력과 희생을 강조하여 기술하였다. 일본인 선조들의 노력 끝에 한일 병합 이후 경성은 시가지와 교통이 발달한 근대식 도시로 번영하게 되었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경성이 오랜 역사를 가진 한국인의 문화적 역사적 중심지였음은 애써 왜곡되고 축소되었다. 이는 제국주의 팽창에 대한 신념과 조선인에 대한 멸시관을 가진 일본인 교사 야노 쿠니타로가 향토교육을 통해 일본인 학생들에게 가르치고자 했던 바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Yano Kunitaro has been interested in geographical research since he was a student at Fukuoka Normal School, and has been traveling and writing since then. His books, “Aso Mountains” and “Gyeongbu Railroad Guide: A Travelogue of Southern Korea,” confirm his belief in Japanese imperialism. Yano saw Korea as the starting point of Japan's external expansion and a frontier for Japanese people to seize new economic opportunities. On the other hand, he looked critically at the “laziness” and “barbarism” of Koreans, a prejudice held by many Japanese at the time. He internalized the logic of Japanese colonial policy makers and strongly believed that Japan's external expansion was a national mission and that Korea, a “land of barbarism,” could become a new “land of opportunity” for the Japanese. It is likely that these beliefs underpinned his decision to come to Korea after graduating from the Normal School and work as a teacher.
    Yano wrote about Seoul while teaching Japanese students in the 1910s. Yano's narratives were related to the Korea government's policy to consolidate its colonial control by permanently settling Japanese immigrants in Korea before and after the 1915 Korea Products Fair. The Korean government organized the exhibition to showcase the achievements of colonial rule, and the “Education Department” displayed local educational materials from local schools. This was recognized as a means of promoting local development, but also as educational material that fostered Japanese nationalism in students. The need for vernacular education for Japanese students in Korea was first advocated by Oda Shogo, the editor-in-chief of the Bureau of Academic Affair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e believed that the existing Elementary education, which emphasized love for “Japan,” was not conducive to the Korea government's warship project. He advocated that Japanese students should be taught about Korea as their “homeland” and that they should be taught about Korea to foster a sense of loyalty to Korea. He believed that only if Japanese students in Korea had a love for the new territory, Korea, would it be possible for the country to be ruled stably.
    In line with Oda Shogo's theory of local education, Yano Kunitaro wrote Seoul local materials, including a textbook for students called "Seoul Local Reading" and a reference book for teachers called "History of Seoul". In his local materials, he deliberately ignored the history of Seoul before it was annexed by Japan and emphasized the efforts and sacrifices of Japanese ancestors to establish a new territory. He wanted to show that through the efforts of Japanese ancestors, Seoul became a prosperous modern city with a developed downtown and transportation system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Seoul's long history as a cultural and historical center of the Korean people was distorted and diminished. This is what Kunitaro Yano, a Japanese teacher with a belief in imperialist expansion and a disdain for Koreans, wanted to teach his Japanese students through local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