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드로의 『1765년 살롱』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미학 (Aesthetics of Melancholy in the "Salon of 1765")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0.11
35P 미리보기
디드로의 『1765년 살롱』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고전문학연구 / 23권 / 265 ~ 299페이지
    · 저자명 : 김선형

    초록

    “멜랑콜리”(Mélancolie)는 18세기 프랑스 문학과 예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주제였다. 이 개념은 미학 이론에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예술의 탐닉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는 18세기의 멜랑콜리의 요소들을 주로 장 바티스트 그뢰즈의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디드로는 『1765년 살롱』에서 화가의 「죽은 새를 보고 슬퍼하는 어린 소녀Une jeune fille qui pleure son oiseau mort」를 미술비평가의 눈으로 예리하게 관찰하기도 하고, 관람자로서 그림을 통해 감정을 극대화시키기도 하면서 독자들이 자신과 같은 환상을 가질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디드로는 이를 위해 자신이 직접 그림 안으로 들어가서 소녀와 직접 대화를 나누고, 그 소녀가 우는 이유에 대해 묻는다. 그 과정에서 디드로는 소녀의 상황을 한 편의 소설처럼 꾸며내고, 그 안에 숨어있는 소녀의 관능성, ‘에로티시즘’으로까지 연결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은 18세기 프랑스 회화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멜랑콜리’의 양상과 에로티시즘과의 관련성까지 연구하는 것이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u XVIIIe siècle, la «Mélancolie» était le sujet le plus utilisé dans la littérature et l’art français. Cette notion est d’une grande valeur dans la théorie esthétique, et occupe généralement une place très importante dans le domaine artistique. Dans la peinture, les éléments de la mélancolie étaient principalement mis en valeur en termes d’aspect extérieur des personnages, mais au milieu du siècle, les artistes et les écrivains ont commencé à se concentrer sur le monde intérieur le plus profond des humains, en prêtant attention aux émotions des personnages. Ils ont impressionné les lecteurs et les visiteurs des Salons par les larmes sincères, les gestes impulsifs ou dramatiques. Diderot a découvert ces éléments de la mélancolie à travers les peintures de Jean-Baptiste Greuze, et parmi eux, les peintures de “jeunes filles” ont beaucoup ému Diderot.
    Dans le Salon de 1765, Diderot a examiné 「La Jeune Fille qui pleure son oiseau mort」 de Greuze et a écrit une longue critique sur ce tableau mélancolique. Pourquoi ce tableau est-il important dans son écriture? Premièrement, c’est que devant cette œuvre, le texte et les éléments visuels sont parfaitement combinés. Notre auteur imagine qu’il entre dans le tableau afin de parler avec la jeune fille et de partager la mélancolie avec elle. Deuxièmement, sa critique d’une fille qui pleure a produit une nuance particulière. Visiblement la jeune fille pleure de douleur devant un oiseau mort, mais son charme et sa sensualité sont liés à “l’érotisme”. Une telle tentative de tirer la sensualité d’une fille peut être considérée comme une nouvelle tentative artistique jamais vue par les critiques d’art contemporains. Troisièmement, Diderot donne sa propre vision de l’esthétique de la peinture et de l’écriture. En d’autres termes, sa nouvelle critique d’art fait de Diderot un critique d’art supérieur, élargit la critique d’art jusque dans le domaine de la littérature et met en évidence des éléments de “mélancolie”. Pourtant, au XIXe siècle, l’aspect mélancolique des peintures a complètement changé. Après avoir traversé la Révolution, les émotions de «Mélancolie» deviennent plus profondes et subl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