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양상 (A Study on the Melancholy in The Poetry of Lee Sang-hw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0.11
34P 미리보기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64호 / 31 ~ 64페이지
    · 저자명 : 배선미

    초록

    본고에서는 피식민 국가에 살다간 시인 이상화가 인지한 비극적 현실인식을 시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슬픔과 비애의 감정을 ‘멜랑콜리의 정동’이라고 규명하였고 층위를 나눠서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우선 이상화의 작품에 드러난 세계인식의 형성을 살펴본다면 ‘상실’이라는 체험이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상실 체험과 이로 인해 파생된 우울한 내면을 동물 이미지와 결합하여 독특한 시 세계를 형성하였다.
    조국과 민족 상실을 경험한 이상화는 자신이 처한 세계를 임박한 파국으로 바라보았다. 그의 시에 나타난 신 또는 신적인 이미지는 구원자의 모습이 아니라 오히려 피할 수 없는 재앙과 종말을 가져오는 부정적인 존재로 형상화되었다. 이런 불행의 심리가 세계의 종말과 초월적 존재의 구원에 대한 불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고에서는 ‘종말론적 멜랑콜리’라고 정의하였다.
    이상화는 부정적 세계의 종말에 대한 기대를 표출했지만 이는 단지 파멸의식 또는 죽음 충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파국과 같은 현실 속에서도 그는 새로 창조된 세계에 대한 희망을 간직하였으며 새로움을 추구하는 ‘영웅적 멜랑콜리’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는 단순한 슬픔만으로 귀결된 것이 아니라 상실한 것을 인식하고 그 상실한 것을 새롭게 창조하게 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화의 멜랑콜리는 역동적인 힘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는 시 세계를 추동하는 원동력으로 작동한다. 그리하여 ‘멜랑콜리’는 그동안 감상주의 또는 퇴폐주의로 평가받았던 이상화의 시 세계를 재평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mainly does research about a poet Lee Sang-hwa who has lived in a colonized country and his sadness he showed in his poem in the process of his cognition of the real world. And the feelings, which can be summarized as “melancholy affect”, will be investigated in layers subtly.
    By combining his experience of losing and the crying of animals together, Lee Sang-hwa expressed his sadness and sorrow over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extended sadness of his and the community.
    Besides, Lee Sang-hwa, who experienced the losing of his motherland and nation, believed that the world in which he lived was on the verge of collapse. The image of god in his poems didn’t mean the savior, but the brining inevitable disasters to the public of Korea oppositely.
    Therefore, a defiant attitude against the god was shown. Such a mentality, based on the expectation of the end of the world and the distrust of salvation, is defined as “the eschatological melancholy”.
    Despite of his expectation of the end of the passive world where he lived, this didn’t just end by the consciousness of destruction or the impulse of death. In the reality just as a dangerous situation, he was still hopeful about the “new world”, and put constant emphasis on innovation, which has demonstrated the “melancholia heroica”.
    In conclusion, the melancholy embodied in Lee Sang-hwa’s poems is not merely negative emotion, but an affect that implies a force driving him move forward.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when re-examining his world of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