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랑과 현대시 (The Acceptance of Arirang Shown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2.08
39P 미리보기
아리랑과 현대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권 / 2호 / 345 ~ 383페이지
    · 저자명 : 정우택

    초록

    이 글은 민요 아리랑의 장르 형성과 그 성격에 근거하여, 현대시가 아리랑을 해석하여 표상하고 재창작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아리랑은 한민족의 수난과 수난 극복의 역사를 표상하면서 민족의 노래로 부상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현대시도 아리랑을 수용하였다.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아리랑은 민족 정체성을 확인하는 양식으로 활용되었다. 중국 조선족이나 러시아 고려인 시들 중엔 ‘지금 그곳’에다 새로운 이상향을 세우는 기획을 아리랑을 통해 표현하기도 했다. 해방 이후의 민족모순은 분단이었고, 민족 분단을 극복하는 염원을 아리랑에 투사하는 방식으로 현대시를 짓기도 하였다.
    아리랑은 이별의 한을 노래하기도 하였다. 아리랑이 노래한 이별은 생사(生死)의 이별과 생이별로 분류할 수 있다. 생이별은 식민지 또는 근대화와 관련하여 본격적으로 발생하였고, 근대화의 모순을 표현하는 시와 아리랑이 결합하기도 하였다. 원래 아리랑에는 놀이와 유흥의 기능이 있는데, 한의 정서에 압도되어 잘 표현되지 못했다. 아리랑을 흥(興)의 정서로 해석하여 표현한 시를 찾아보았다.
    아리랑은 정선아라리, 진도아리랑, 밀양아리랑처럼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전승 전파되는 민요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대시는 공동체 내의 전승 규정력을 갖지 않기 때문에, 시인은 개인과 관련된 임의의 장소를 아리랑에 결부시켜 시를 짓기도 했다(예: 「시카고 아리랑」). 이런 기획은 아리랑을 매개로 시인 개인 서정을 표현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지역 이름을 표제로 한 아리랑 시에서 지역성과 아리랑은 개인의 정체성이나 상황을 구성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지역 아리랑 중에서 정선아라리가 현대시에 가장 많이 호출되었고, 특히 정선 아우라지를 배경으로 한 시가 많았다.
    아리랑의 존재기반과 존재방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따라서 현대시는 고정된 아리랑 표상을 답습하지 말고, 균열하는 아리랑의 존재방식에 주목하여 그 변화의 양상을 개성적인 사유와 언어로 표현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odern poems interpreted the poetic meanings of Arirang and attempted to represent and recreate them, focusing on Arirang’s formative process as a genre of Korean folk song and its characteristics. Arirang came to rise up as a representative Korean folk song because it symbolized the historic sufferings of Korean people. I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irang was used as the means of confirming the national identity.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fter the Liberation was one of the largest contradictions to the Korean people, and some modern poems were written through projecting into Arirang’s form the dearest wish to overcome the division.
    The main theme of Arirang has been generally explained as Han(=a repressed inner complex) caused by the separation between beloved people. The separation sung by Arirang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death-rooted and the socially-enforced group. The enforced separation was made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and modernization, and some poems describing the contradictions of modernization sometimes were combined with Arirang. Originally Arirang has two types of function as play and amusement, but they, oppressed by the emotion of Han, were not fully expressed. Some poems regarded the emotion of joy as the musical base of Arirang and introduced it into its poetic world.
    As Jung-Seon Arirang, Jin-Do Arirang and Mil-Yang Arirang reveal, Arirang is the folk song which was spread and handed over within regions. The poets, however, wrote poems by connecting Arirang with an arbitrarily -chosen region(ex: Chicago Arirang), because modern poetry doesn’t have any restrictions on its spreading and dissemination within a community. In such poems, Arirang appeared to be a carrier of a poet’s individual lyrical feeling. The regional trait and Arirang, in the poems of which title contains a local name, helped to build personal identity and existing conditions. Among local Arirangs, Jung-Seon Arirang turned out to be most frequently introduced in modern poems, and Jung-Seon Auragi appeared as the most popular poetic scenery.
    The existing base and method of Arirang vary according to the times. So modern poems should not repeat the fixed forms of Arirang, but portray its changing features through individual thinking and poetic diction, paying attention to the splitting forms of Arir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