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프가니스탄 베그람 출토 유리용기와 포도주 (Indian Kushan Glassware Excavated in Begram, Afghanistan and Win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4.02
34P 미리보기
아프가니스탄 베그람 출토 유리용기와 포도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중국전략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China Studies / 16호 / 105 ~ 138페이지
    · 저자명 : 이송란

    초록

    이 글에서는 아프가니스탄 베그람 궁전 유적 출토 유물 중 10번방과 13번방에서 출토된 로마 유리그릇의 기형과 출토 양상을 살펴보았다. 생활 유적에서 로마 유리가 확인되는 곳은 폼페이, 헤르클레네움(Herculaneum)․스타비아이(Stabiae) 등을 비롯한 베수비우스(Vesuvius) 지역 도시들이다. 기원전 1세기 로마에 편입된 이 유적에서 출토된 유리는 79년 8월 24일 베수비우스 화산 폭발이라는 절대 연대를 가지고 있다. 즉 79년 이전 로마 유리의 사용 양상이 도시 생활 유적에서 고스란히 확인되는 셈이다.
    헬레니즘 시기까지도 고급 기물로 자리 잡지 못한 유리용기가 식기로 새롭게 조명된 것은 로마 시대부터이다. 속의 내용물을 투명하게 볼 수 있으면서 동시에 내용물의 맛을 변화시키지 않는 장점이 부각된 것이다. 이로 인해 당시 로마 사회에서 유행하던 연회문화와 일상생활에서 포도주 그릇으로 적극 활용된 것이다.
    아프가니스탄 베그람에서 확인된 로마 유리는 1세기 후반 이후 유리가 대중화되던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인도에서는 기존에 연구가 된 바와 같이 이미 박트리아 왕국시기부터 포도주를 소비하여 왔다. 쿠샨시대에 들어서면서는 로마와의 무역이 활발해 지면서 다방면에서 로마 영향을 많이 받았다. 쿠샨시대 간다라 미술에 술의 신 디오니소스 모티프가 등장하는 것은 이 지역에서 그만큼 포도주 문화에 익숙한 증거로 파악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로는 베그람 유리용기는 로마의 포도주 기형을 따른 예가 많다. 베그람의 180점의 유리용기 중 대부분이 로마의 지배하에 있었던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제작된 것으로 이해된다. 알렉산드리아산 채색 유리용기 중 사냥 장면에 등장하는 호랑이는 인도에서만 서식하는 점에서 인도인들의 취향에 따라 주문 생산되었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생각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베그람의 유리용기는 로마의 포도주 문화의 영향을 수용함과 동시에 로마의 유리용기를 수입하여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shapes of containers and the aspects of excavation of Roman glassware unearthed particularly from Room No. 10 and Room No. 13 among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ruins in the Palace of Begram in Afghanistan. This palace is known as the summer palace of Kushan Empire. Roman glass is found in the ruins of those that used to live of living in the cities in the Vesuvius area including Pompei, Herculaneum and Stabiae in Italy. The pieces of glass excavated from these ruins are at least as old as the eruption of the Vesuvius Volcano on August 24, 79 CE. In other words, the intact aspects of the uses of Roman glass prior to 79 CE can be found in the ruins of urban living.
    It was the Roman era, when the glass that had not been settled as an advanced vessel at the time of Hellenism was recognized, and popularized as tableware with its transparency, and ability to conserve the tastes of contents. Glass was loved by the Romans because it was recognized as wine ware related to popular banquet culture in Roman society at the time. Glass could be popularized as a wine container like this because there were technological innovations such as glassblowing production method that could support the social needs of glass in the society.
    It is determined that the Roman glass found in Begram has been manufactured since the late 1st century CE when Roman glass became popularized. As studied previously, India had consumed wine since the Bactrian era. The appearances of the god of wine, Dionysus motif in Gandhara art proves that people in this area were familiar with wine culture.
    It is examined in this study, Begram glasses have the same shapes as the glassware excavated from the cities in the Vesuvius areas including Pompei, which was buried by the eruption of the Volcano in 79 CE. All the sites in which 180 pieces of Bagram glass were manufactured have not been discovered, but it is understood that most of them were produced in Alexandria, Egypt. Since a tiger that appeared in hunting scenes on Alexandrian coloring glass only inhabits India, it was carefully assumed that there were manufactured based on orders for the users’ tastes.
    India is an important area in the process of the spread of Roman glass since it became a base for Roman exports to Southeast Asia and China. Indians that used the Roman glass and were influenced by it, produced beads such as mosaic beads and foil beads, but it still depended on imports of containers from Rome. The fact that plaster mold for producing silver ware was found in Room No. 10 and No. 13 of Begram reveals that silver ware was manufactured in this area.
    However no silver ware has been found there. Unlike this, it was understood that the stored 180 pieces of glassware show the position of Roman glass in the Kushan society.
    As the author judged, tone should be cautious to confirm, but any glassware shape estimated as that of the 3rd century CE cannot be found. This probably suggests that this area had been already closed before the invasion of Sasanian Persia. With this in consideration, this paper focused on the studies that viewed all of the Roman glass found in China, which is estimated as ranging from the Eastern Han Dynasty to the Western Jin Dynasty, and were imported by s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China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