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류학적 체계론에서의 의사 상담(醫師相談) 의미 -의사소통의 정보와 의미란 무엇인가? (Die Bedeutung des ärztlichen Gesprächs in der anthropologischen Systematik -Was ist die kommunikative Information und Bedeutung?)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09
20P 미리보기
인류학적 체계론에서의 의사 상담(醫師相談) 의미 -의사소통의 정보와 의미란 무엇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8호 / 419 ~ 438페이지
    · 저자명 : 김은하

    초록

    개별 의사들의 심리학적인 능력을 제외하고 우리의 고찰 목적은 ‘의사 상담’이 인간 의학으로서 어떤 특수성을 지니는지, 그 체계적인 위치(systematische Lage)를 확실히 하는 데 있다. 의사소통의 상호주관적인 관점에서 의사 상담에 대한 체계성 문제는 인간의 고유성 문제에 닿아 있다. 본 논문은 이에 먼저 인간의 고유성을 물리학적인 자연의 측면과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 이를 인류학적인 관점에서 논구하고자 한다.
    종래 의학에서 인간은 의심할 나위 없이 물리․화학적인 반응을 하는 신체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세포체계가 설사 신경반응들로 이뤄진다 할지라도 인간의 생명활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 변화하는 비물질적인 특성을 지닌다. 우리의 몸은 수용․섭취․배설 등의 에너지 대사를 통해서 자신의 물질적인 요소를 환경과 교환하고 생명과정을 자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각의 ‘자극’ 또는 ‘신호 기호’는 살아있는 생명체에게 어떤 ‘의미’와도 같다.
    의사와 그의 상담대상 역시 생물학적인 특성을 지닐 뿐 아니라 의미를 해석하는 개별 존재다. 그러나 인간과 인간은 단순히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 머물지 않고 서로의 ‘의도’를 ‘공유’하길 원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적이다. 우리는 행동과 행동의 목적(및 의도)을 자신과 구분함으로써 삼중적인 이해구조를 통해 서로 관계 맺는다. 이러한 이해방식은 다른 생물들과 차이 나는 인간의 인류학적인 고유함이다.
    의사 상담(문진)에서의 구두 ‘정보’는 상호주관적이다. 사회․문화적인 상담 정보(진료의 의미론적인 내용이나 일반적 사태관계를 포함한 지식)가 대화자의 개별적인 삶으로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담은 그러나 무엇보다도 역사․문화적으로 중개되는 상징 정보들을 환자의 개별적인 생명수행과정에 비추어 협의할 때, 공동 진찰로서 의미를 갖는다. 정보해석 능력에 대한 의사의 정도 차이나 상담에서 보이는 재능문제도 결국에는 인간의 체계적 위치가 갖는 이러한 특수성을 반증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으로서 의사 상담의 체계성 문제는 인간에 대한 물리학적인 자연에 대한 물음뿐만 아니라 생물학적인 조건을 넘어 인류학적인 물음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영어초록

    Das Zweck unserer Überlegungen ist, ungedachtet der pychologischen Fähigkeiten des einzelen Arztes, darauf gerichtet, es zu berücksichtigen, welche Spezifik das „ärztliche Gespräch“ als Humanmedizin hat und dessen systematische Lage festzulegen. Im intersubjektiven Gesichtspunkt beruht das Problem der Systematik vom ärztlichen Gespräch dennoch auf das Eigentum des Menschen. Hierzu behandelt diese Arbeit zunächst die menschliche Eingentlichkeit auf der Seite von der physischen Natur und der biologischen und führt es zur anthropologischen Argumentation.
    Bisher wird der Mensch in der Medizin zweifellos als der aufeinander physikalisch und chemisch wirkende Köper verstanden. Aber die lebendige Tätigkeit des Menschen enthält die mit der Umwelt wechselwirkende immateriele Spezipik, auch wenn das System der menschlichen Zelle aus den neuronalen Reaktionen entsteht. Unser Köper vermögt die materiellen Elemente mit der Umwelt durch den Energiestoffwechsel wie die Aufnehmung, die Ernährung und die Ausscheidung usw. zu wechseln und den Prozess des Lebens dadurch auszuführen. Hierbei wird jener „Reiz“ oder „Signalzeichen“ als eine „Bedeutung“ für den lebendigen Komplex betrachtet. Der Arzt und sein Gesprächsgegenstand eben haben nicht nur den biologischen Charakter, sondern auch das eine Bedeutung interpretierendes einzelnes Sein. Aber Mensch und Mensch sind kommunikativ in dem Sinne, dass sie nicht einfach bei der Interpretation der Bedeutung bleiben, sondern ihre Intention miteinander zusammenteilen wollen. Man nimmt Bezug aufeinander und zwar durch die triadische Verstehensstruktur, indem man von sich selbst die Handlungen und das Ziel bzw. die Intention des Handelndes unterscheidet. Diese Verstehensstruktur weist nichts anders auf das anthropologischen Eigentum des Menschen, das sich von dem der anderen Lebendigen unterscheidet, Beim ärztlichen Gespräch (dem Konsilium) sind die mündlichen Informationen intersubjektiv. Die sozial kulturellen Informationen des Gesprächs (der semantische Gehalt der Behandlung oder die den allgemeinen situativen Sachverhalt beinhaltende Kenntnis) werden in den einzelnen Lebensvollzug des Gesprächspaters eingebettet. Dabei hat der Gespräch aber vor allem erst nach Rücksprache, welche man von der kulturell symbolisch vermittelt werdenden Information im Lebensvollzug des Patienten zusammenspricht, seine Bedeutung. Schließlich beweist sowohl der ärztliche Fähigkeitsunterschied in den Interpretationen der Information als das Problem der persönlichen Begabung eines Artzes beim Gespräch diese Spezifik, die der systematische Ort des Menschen hat. Das Problem der Systematik des ärztlichen Gesprächs gehört daher nicht nur zur Frage nach der physischen Natur, über die biologischen Bedingungen hinaus, sondern auch zur anthropologischen Fr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