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라도 지역의 반란 대응체계와 운용 - 무신란(戊申亂) 당시 경상도 반란군 방어를 중심으로 - (Response System to Rebellion and Its Operation in Jeolla province -Focusing on the defense against rebel forces in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rebellion in the year of Musi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9.03
32P 미리보기
전라도 지역의 반란 대응체계와 운용 - 무신란(戊申亂) 당시 경상도 반란군 방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군사 / 110호 / 241 ~ 272페이지
    · 저자명 : 문경득

    초록

    본 연구는 군제사의 관점에서 경상도 반란군의 전라도 진출을 방어하기 위한 활동을 통해 전라도 지역 지방군의 지휘체계나 병력 동원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방제도와 군사사에 관한 연구성과를 검토하여 전라도 지역의 반란 대응체계를 살펴보았다. 이후 무신란 당시 지방관의 보고를 수록한 『무신별등록(戊申別謄錄)』 등을 중점적으로 활용하여, 군사제도 안에서 지방관들이 경상도 반란군에게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확인하였다.
    18세기 초의 지방군 지휘체계는 감사-병사-영장-수령의 체계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라도 지역에서 지방관이 동원할 수 있는 병력으로는 감영의 아병과 병영의 친병, 진영 소속 속오군 등이 있다. 다만 당시에는 납포군화가 성행했기 때문에 감영과 병영에서 실제 동원 가능한 병력이 얼마인지 알 수 없다. 다만 좌영장 겸 운봉현감이 속읍에서 명목상 동원할 수 있는 최대 병력은 마병 2초, 속오군 34초 등 약 5,000명 내외였다. 3월 15일 청주에서 반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이 18일 저녁에 전라도에 전해졌다. 이에 전라도 지역에서는 병력을 소집해 반란에 대비했다. 이러던 중에 경상도에서 20일에 일어난 반란 소식이 21일에 전라도로 알려졌다. 이때부터 운봉현감 손명대는 정찰을 보내 반란 사실을 확인하고 병력을 급히 소집해 요충지인 팔량치를 막으려 했다. 그러나 남원부사 김유가 정식 명령이 없다는 이유로 거절했고, 감사의 명령을 듣고서야 병사를 지원했다. 그러나 병사가 빨리 모이지 않아 27일에서야 관할 병력 중 50%만 집결하였다. 바로 다음날인 28일에 반란군이 인근 지역인 함양을 점령하고 팔량치로 진군했다가 관군이 고지를 선점한 것으로 보고 30일 새벽에 후퇴했다.
    이상의 반란 대응 체계와 병력 동원을 검토한 결과, 제도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한 지휘체계의 혼선과 비전문가의 군사지휘로 인한 지휘관의 역량 문제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병력 동원에 있어서도 신속하게 소집하지도 못했고, 소집된 병력도 명목 대비 2/3에 불과했다. 이는 전라도 지역의 반란 대응체계가 이미 상당 부분 무너져 있었으며, 제도적·구조적 문제를 개인 역량으로 떠안아야 하는 체제였다는 점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and system and mobilization patterns of the local forces in Jeolla province with the activities to defend the Gyeongsang rebel forces' advance to Jeolla Province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military system. For this purpose, I searched the studies about the local systems and military ones to review the response system to rebellion in Jella province. And then, using "the official document file of the Musin Rebellion(『戊申別謄錄』)", which included the reports from local governors during Musin rebellion, I could confirm how the local governors responded to the rebel forces from Gyeongsang under the military system at that time.
    In the beginning of 18th century, the command system of regional military consisted of provincial governor(監司), provincial military commander(兵使), local divisional commander(營將), and district magistrate(守令) in order. In addition, the troops that could be mobilized in the Jeolla province were the ivory soldiers(牙兵) of headquarters of the provincial governor(監營), the personal troops(親兵) of provincial military commander’s headquarters(兵營) and the regimental troops(束伍軍) in local divisional commander’s garrison(鎭營). But as the cases of exemption of military service were spreaded out at that time, it is impossible to estimate the number of soldiers to have been mobilized from the headquarters of the provincial governor(監營) and the provincial military commander’s headquarter. However, the maximum troops that could be nominally mobilized by the local divisional commander of Unbong(雲峯) included around 5,000 people, 2 companies of horsemen, 34 companies of infantry and so on.
    The news that the rebellion occurred in Chongju(淸州) on March 15 was delivered to Jeolla province on the evening of 18th. In response to this, Jeolla province mobilized military forces. In the middle of it, the news that the rebellion in Gyeongsang Province occurred on 20th was delivered to Jeolla Province on the 21st. From the moment, Son Myeongdae(孫命大), county magistrate of Ungong and local divisional commander, made a reconnaissance to confirm the rebellion and urgently mobilized the troops to defend the Hill of Pallyang(八良峙), a very important strategic point.
    However, Kim Yu(金濰), district magistrate of Namwon(南原) refused because there was no official order by royal court, and it was not until he received the order of provincial governor that he supported soldiers. What's worse, it was not easy to gather soldiers quickly, so that only 50% of their troops were gathered on the 27th. The next day, on the 28th, the rebel occupied Hamyang(咸陽), nearby area, and proceeded to the Hill of Pallyang. But the rebels retreated at dawn on the 30th after the provincial troops preoccupied the highlands first.
    After examining the response system to rebellion and the mobilization of troops, it is certain that there was a problem in the commander's capacity due to the confusion of the command system resulting from the structural defects of the system, and the military command of the non-specialist. Also, the troops couldn't be quickly mobilized, and the mobilized troops were only 2/3 against the nominal number. This shows that the regional response system to the rebellion had already been largely collapsed, and that the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problems had to be supplemented by individual cap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