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유란 무엇인가? : 현대 철학 및 신경과학의 자유개념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제언 (What is freedom? : A Theological Suggestion for the Concept of Freedom in Critical Dialogue with Contemporary Philosophy and Neuroscienc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3.09
35P 미리보기
자유란 무엇인가? : 현대 철학 및 신경과학의 자유개념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6호 / 179 ~ 213페이지
    · 저자명 : 이용주

    초록

    “우리는 자유로운가?”라는 질문은 신학과 철학의 역사 속에서 오랫동안 가장 논쟁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였다. 이 주제에 관한 논쟁은 오늘날 신경과학 및 뇌과학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의식적, 의지적 결단과행위의 근저에 놓여 있는 뇌의 생화학적 변화와 작용에 대한 지식의발전과 더불어 다시 한번 촉발되었다. 본고에서는 리벳 실험 및 신경과학의 새로운 발견과 더불어 더욱 강화되었던 자유의지 논쟁과 인간에대한 환원주의적 신경과학적 이해들이 전제하고 있는 자유의 개념의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자유이해가 가지는 빈약함을 드러낸다. 이들은 표면적으로는 물질주의적 일원론을 주장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데카르트식의 정신- 육체의 이원론을 여전히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이원론적 토대로 인해 인간의 자유와 신체적 작용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인간의 자유를 신과 인간, 인간과인간, 이성과 의지의 존재론적 구조라는 구성적 조건 속에서만 논의하는 어거스틴의 자유이해를 분석함으로써, 참된 자유란 이원론적 토대위에서가 아니라, 이를 가능케 하는‘필수조건’들과의 연관성 속에서만 올바로 이해될 수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자유란 결코무제약적인 자기결정으로서가 아니라, 이러한 일련의 자유의 가능성의조건들의 토대 위에서만 가능한‘제약적 자기규정’으로 이해되어야 할것임을 밝힌다. 이를 통해 자연과학, 철학 등과 함께 이루어지는 학문간의 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신학적 방안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re we free?” This question was for a long time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theme in the history of theology and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dispute about human freedom was once again brought about in last century through development of neuroscience and brain science which unveiled the biochemical mechanism of human conscious, volitional decisions and actions. In this paper, it is pursued to expose how weak is the concept of freedom which underlies not only in the philosophical dispute about libertarianism and determinism but also in the naturalistic reductionist interpretation of neuroscientific discoveries. Seemingly, the reductionistic interpretation of brain science is based on the materialistic monism, but is in reality still clinging to the Cartesian mind-body-dualism on which the human freedom cannot help but to be denied. By analysing the concept of freedom Augustine’s, the originator of theological concept of freedom, this paper aims to show the proper concept of freedom. Freedom is not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which reckons freedom solely in abstraction from relations with God,natural condition, social interplay and ontological structure of human being. On the contrary, freedom can be constituted only in the context of ‘necessary condition’ which helps realize human freedom. This paper suggests the concept of freedom in terms of ‘conditional selfdetermination’.
    In doing so, it is aimed to suggest a model of interdisciplinary dialogue in which theology could contribute in its own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