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태계교란식물인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환삼덩굴의 발생특성과 관리 (Occurrenc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Invasive Weeds,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and Humulus japonicu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1.09
16P 미리보기
생태계교란식물인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환삼덩굴의 발생특성과 관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잔디학회
    · 수록지 정보 : Weed & Turfgrass Science / 10권 / 3호 / 227 ~ 242페이지
    · 저자명 : 이인용, 김승환, 홍선희

    초록

    생태계교란야생식물 16종 중 꽃가루를 날려 인축에 피해를 주는 잡초는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환삼덩굴 3종이다. 이들 3종에 대한 분포, 발생생태, 생태계 위협과 관리방법을 확인하였다. 이들 잡초는 전국의 모든 곳에서 발생하며, 거의 비농경지에 발생하기 때문에 경종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는 없었다. 물리적인 관리방안으로는 뿌리채 뽑는 것과 생육 중 줄기 절단방법 등이 우선적이었다. 제초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관리방안은 다양하였다. 이들 3종은 토양처리제보다는 비선택성 제초제인 glyphosate를 처리하거나, glyphosate와 2,4-D 또는 glyphosat와 dicamba를 혼용살포하는 방법이 추천되었다. 그러나 glyphosate 연용으로 저항성 잡초를 발생시키거나 주변의 비표적식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등 또 다른 생태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비선택성 제초제 보다는 옥신계 등 비표적 식물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제초제 사용을 추천한다. 특히 제초제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생육초기에 물리적방법을 적극 결합한 종합적관리 방안이 다각도로 모색되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환경에 보다 안전한 생물학적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Among 16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listed b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 giant leaf ragweed (A. trifida ), and Japanese hop (Humulus japonicus) causes serious human health problems due to their pollen dispersal. In this review, we reviewed and summarized their distribution, occurrence, ecological threats and management methods. Since these weeds occur almost exclusively on nonagricultural land, cultural methods cannot be applied for management of these weeds. Instead, physical methods such as uprooting and cutting the stems during growth is preferred. Various chemical methods using herbicides can be practiced if herbicide use is allowed. Post-emergence application of glyphosate, glyphosate+2,4-D or glyphosate+dicamba was recommended, but not soil treatment herbicide. However, sole reliance on chemical herbicides may result in herbicide resistance and vegetation disturbance by killing non-target plant species. None of biological methods using mainly insects were practically applicable to the field, but continuous research efforts are required to develop more environmentally safe biological way of controlling invasive alien wee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Weed & Turfgrass Scienc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