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곰브로비치의 <트란스-아틀란틱>에 나타난 ‘정상’과 ‘자유’의 개념 (Normalcy and Freedom in Witold Gombrowicz's Trans-Atlantyk)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1.03
22P 미리보기
곰브로비치의 &lt;트란스-아틀란틱&gt;에 나타난 ‘정상’과 ‘자유’의 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슬라브硏究 / 27권 / 1호 / 101 ~ 122페이지
    · 저자명 : 정보라

    초록

    비톨드 곰브로비치는 <트란스-아틀란틱>에서 ‘아버지의 나라’를 뜻하는 “jczyzna”와 이에 대응하는 ‘아들의 나라’라는 뜻으로 작가의 신조어인 “ynczyzna”라는 두 개념을 대비시킨다. 이 두 가지 가치 체계 혹은 세계관은 정상과 비정상 혹은 광기, 권력과 통제, 그리고 자유라는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작품 내에서 “jczyzna”와 “ynczyzna”는 사실상 양쪽 다 일종의 광기이다. 그러나 “jczyzna”의 가치 체계에 속하는 사람들은 종종 권력과 통제력을 갖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jczyzna”라는 가치관은 정상이고 규범이 되는 기준으로 보인다. 반대로 “ynczyzna”는 진정한 광기이다. 이것은 권력과 통제에 맞서는 저항의 힘이며, 이러한 광기만이 인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영어초록

    When discussing Witold Gombrowicz, the key words one hears most often are: youth or adolescence; its inherent immaturity and freedom; Modernism or Post-Modernism; and “polskość,” meaning Polishness or the Polish identity. Trans-Atlantyk (1953) is an excellent example among Gombrowicz’s works that encompasses all of these themes. In this novel, the driving force of the story is the contrast and conflict between two opposing value systems: “ojczyzna” or the fatherland, and “synczyzna” or the son-land, using Gombrowicz’s own coinage. Numerous critics have analyzed, discussed and/or commented on these distinctly Gombrowiczean concepts, but so far the discussion seems to be centered primarily on Poland and the Polish people.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the concepts of “ojczyzna” and “synczyzna”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ity or any kind of geo-political identifications. Using the theories of Michel Foucault and Jean Baudrillard, this paper will show that “ojczyzna” and “synczyzna” are two opposing systems or worldviews based on different organizing principles. These two systems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s of madness, power and control, and freedom. In Trans-Atlantyk, “ojczyzna” and “synczyzna” are both certain forms of madness. The difference is that “ojczyzna” is a form of madness in disguise of order and reason. The people belonging to this system have power and control, so the worldview of “ojczyzna” appears to be the norm. “Synczyzna,” on the other hand, is true madness: it is a rebellion against power and control, and only this type of madness may set a person fre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