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국신문》잡보 ‘하위란’의 형식 실험과 수사적 전략 (Formative Experiments and Rhetorical Strategies of 'Hawiran(sub-section)', a Japbo in Jeguk Sinmun(The Imperial Newspaper).)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7.10
49P 미리보기
《제국신문》잡보 ‘하위란’의 형식 실험과 수사적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63호 / 195 ~ 243페이지
    · 저자명 : 권두연

    초록

    《제국신문》은 1900년부터 시사 기사들을 별도의 독립된 형식으로 게재하기 시작했고 간헐적이기는 하지만 상당히 오랜 기간 다양한 양상으로 이를 변주하는 형식 실험을 시도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련의 형식을 잡보 ‘하위란’으로 명명하고 그 형식 실험의 양상과 수사적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잡보 ‘하위란’이 시사적인 유형 외에도 전통적인 기담이나 고사, 소화, 잡가, 가사와 같은 익숙한 양식은 물론이고 대화체나 문답체, 독자 투고와 현상모집 등 새롭게 대두된 양식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였음을 고찰하였다. 또 잡보의 일반 기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제목을 부여함으로써 전달하려는 의미를 환기하고 주제의 전달성을 강화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다양한 형식에 담으려고 했던 내용들이 주로 정치 및 시사에 대한 세태 풍자와 비판이었다. 이는 논설의 약화와 검열을 피하기 위해 고안된 전략 가운데 하나였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잡보 ‘하위란’이라는 장치는 기존 매체의 지면으로 구획되거나 포섭되지 않는 글쓰기 양식들의 출현이자 동시에 근대 초기 한글을 매체 언어로 삼아 저널리즘적 글쓰기를 시도한 《제국신문》의 중층적이면서도 혼종적인 성격을 방증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영어초록

    The Jeguk Sinmun began to carry current event-type and comment-type of articles in a separate and independent form, since 1900 and though intermittently, attempted formative ex periments by changing them into various modes, for quite long period. This paper called such a series of forms the 'Hawiran (sub-section)', a Japbo and examined its formative experiment modes and rhetorical strategies.
    From this examina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Hawiran (sub-section)' variously used familiar styles such as traditional weird stories or folklores, amusing stories, folk songs and folk tales other than current event type, as well as newly emerging styles including dialogic and catechetical one, letters to the editor, prize-contests and so forth. In addition, it could also found that it attempted to awaken meaning to be delivered and reinforce the transferability of themes by giving titles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articles in a Japbo.
    Interestingly, contents to be carried in such a variety of forms were concentrated on critiques and satires against politics and current events. This might be one of strategies devised to avoid censorship and prevent the wane of editorials. In conclusion, the 'Hawiran(sub-section)', a Japbo was a significant device, in that it appeared as a fresh mode of writing, which was not com partmentalized or connoted as a space in the existing media, and it simultaneously provided a supporting evidence for multi- layered and hybrid characteristics of Jeguk Sinmun which tried journalistic writing by using the early modern Hangeul as a media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