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악 구음으로서 뜻장단의 존재양상과 연행원리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The Existing Patterns and Performance Principle of the Meaning rhythm (Teut-Jangdan) as the Oral Sound of Nongak in the Honam Regi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04
42P 미리보기
농악 구음으로서 뜻장단의 존재양상과 연행원리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9호 / 369 ~ 410페이지
    · 저자명 : 송기태

    초록

    농악 가락의 구음은 악기의 소리를 흉내 낸 것과 상징적 뜻을 지닌 것으로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소릿장단과 뜻장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농악 전통에서 뜻장단은 집단주술로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고, 그것을 통해 가락의 분화와 확장을 이루어내는 연행원리를 형성했음에 대해 주목하였다. 또한 뜻장단이 존재함으로 인해 가락이 다양성을 갖추게 되고, 가락의 미세한 차이가 장단형으로 형해화되지 않으며, 변별적인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뜻장단의 오래된 전통을 확인하기 위해 19세기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태평곡정음 12차> 가락보를 분석하였다. <태평곡정음12차> 가락보는 마을농악의 마당밟이와 판굿을 종합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마당밟이 가락은 제의적 상징을 담은 뜻장단으로 표기하고, 판굿은 절차에 따라 소릿장단이나 뜻장단을 함께 표기해 놓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농악의 구음은 뜻장단과 소릿장단의 두 체계를 공유하며 오랜기간 전승됐음을 알 수 있었다.
    뜻장단의 존재양상을 살피기 위해 전라도지역 농악 보고서를 집약적으로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뜻장단은 마당밟이에 집중되어 있어서 문굿, 샘굿, 조왕굿, 장꽝굿(철륭굿), 곳간굿, 술굿, 파장굿 등의 제의적 상황을 상징하거나 지시하는 의미로 일정한 형태를 공유하고 있음을 파악했다.
    뜻장단은 마당밟이의 절차에 따라 상징하는 바가 다르지만 일정한 장단형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분화해 있어서 가락의 형태는 미세한 차이에 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락마다 상징이나 지시하는 뜻을 담고 있어서 미세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확장ㆍ분화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더불어 장단과 형태를 공유하는 점에서 가락을 쉽게 혼동할 수 있음을 전제하고, 마을농악에서 가락의 변주를 제한하는 연행원리를 구축함으로써 정체성을 유지하는 이중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끝으로 뜻장단은 공동체적 축원으로서 집단주술의 힘을 표출하는 유력한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농악은 하나의 가락을 전체 연희자가 반복적으로 연행하는 데 특징이 있는데, 뜻장단은 구음을 대신하여 악기로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한 가락의 반복이 아니라 축원문을 집단적으로 구송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마당밟이가 무당굿의 큰굿보다 더 효험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악기와 복색을 기증하는 문화로도 확장된 것으로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oral sound of the Nongak rhythm exists as the imitation of the sound of instruments and as that which has symbolic meaning. This study divides them into ‘Sound rhythm (Sori-Jangdan)’ and ‘Meaning rhythm (Teut-Jangdan)’.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act that in the Nongak tradition, the meaning rhythm has a special significance as a collective incantation, which formed the principle of performance to achieve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of the rhythm. This study also discusses that the existence of the meaning rhythm diversifies the tunes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a distinctive identity without the subtle differences in the tune being dissolved into rhythm types.
    In order to identify the old tradition of meaning rhythm, this paper refers to the score of Taepyeong-gog-jeongeum-sibicha,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19th century. The score is a comprehensive record of Madangbalbi and Pangut of the village Nongak. It is confirmed that the rhythm of Madangbalbi was written as meaning rhythm containing ritual symbolism, and the rhythm of Pangut was written as sound rhythm or meaning rhythm according to the procedure. This shows that the oral sound of Nongak had two systems, the meaning rhythm and the sound rhythm, and was passed down for a long time.
    In order to explore the existing forms of meaning rhythms, an intensive analysis was made on Nongak in the Jeolla-do region. Most of the mening rhythms were concentrated on Madangbalbi and shared a certain form with the meaning of symbolizing or indicating ritual situations.
    Meaning rhythms have different symbolic meanings depending on Madangbalbi’s procedures, but because they are differentiated in a way that shares certain rhythm types, the forms of the rhythms only have subtle differences. However, because each rhythm contains a symbolic or indicative meaning, it was found that each rhythm expanded and differentiated while maintaining its own independent identity despite subtle differences. In addition, provided that rhythms can be easily confused in that they share some rhythms and forms, village Nongak has a performance principle that limits the variation of the rhythms, thereby establishing a dual device to maintain its identity.
    Lastly, the meaning rhythm functions as a powerful means of expressing the power of collective incantation as a communal prayer. Nongak is characterized by the repetitive performance of a single rhythm by a group of people. Since the meaning rhythm is expressed by musical instruments instead of oral sound, it is not simply a repetition of the rhythm, but has the significance equivalent to the collective chanting of the prayer. Therefore, Madangbalbi was recognized as more efficacious than Keun-gut (Great Gut) of Mudang-gut (shamanic exorcism), and it also expanded into a culture of donating musical instruments and gar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