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사상적 관점에서 본 법정의 ‘속 뜰’ 세계 (The World of the ‘Inner Courtyard’ of Beopjeong Seen from the Viewpoint of the Zen Thought)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1.12
37P 미리보기
선사상적 관점에서 본 법정의 ‘속 뜰’ 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0호 / 139 ~ 175페이지
    · 저자명 : 신명희

    초록

    본 논문은 비구 법정(法頂, 1932∼2010)의 삶과 수행의 면모에 나타난 선사상을 주제로 한 다. 법정은 1955년 22세에 효봉을 은사로 출가했다. 비구계를 받은 뒤 제방 선방에서 안거를 성만했고, 경전 번역에 힘썼으며, 1970년대 민주화 운동에도 참여했다. 법정은 30대 후반에 『무소유』라는 책을 통해 불교계보다 세상에 알려졌다. 진정한 수도자의 모 습으로 수많은 이들의 영혼을 일깨워준 ‘비구’로서 70년대 이후부터 법정이 열반하기 전까지 한국사회의 멘토였다. 한편 법정은 글과 법문으로 부처님의 진리를 세상에 보편 화시킨 현대판 ‘21세기 원효’라고 볼 수 있다.
    진리는 중생의 삶 속에 있다. 법정의 삶과 수행이 곧 선(禪)의 길이다. 법정의 글과 법문 을 통해 선사상적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는 점은 세 분야이다. 첫째는 선종사에서 법정 이 모델로 삼았던 선사들로서 담백하고 가난한 수도자들, 시를 읊으며 은둔자적한 선사 들, 무정물을 통해 깨달음을 추구한 선사들이다. 둘째는 법정은 초년 시절에 ‘본래면목 (本來面目)’ 화두를 들었고, 이후로는 ‘시심마(是什麼:나는 누구인가)’로서 평생을 이 화두를 안 고 살았다. 이렇게 선적(禪的) 삶을 지향은 법정은 현재 시점을 일상에서 강조했으며, 그 의 일상적 삶이 그대로 선의 전개였다. 셋째는 법정은 무소유적 삶을 일관하며, 무정물 에 공감하며 그의 ‘속 뜰’ 세계를 채웠다.

    영어초록

    This thesis shall have the Zen thought appearing in the aspects of the life and the practice of the Buddhist priest Beopjeong (1932~2010) as the subject. Beopjeong left the home with the Buddhist monk Hyobong as the teacher at the age of 22 in the year 1955. After receiving the bigugye, at the good defense embankment, the angeo was seongman. And he had exerted the strength on th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in the 1970’s, he had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oo. In the latter part of his 30’s, through a book called ‘Nonpossession’, Boepjeong had publicized to the world rather than the Buddhist system. As ‘a Buddhist priest’ who awakened the spirits of a lot of people with the appearance of a true monk, from after the 1970’s until the monk entered the Nirvana, he had been a mentor of the Korean society. Meanwhile, it can be considered that Beopjeong is the modern version ‘21st century Wonhyo’ who had universalized the truths of the Buddha in the world through the writings and the Buddhist writings. Truth lies within the lives of the people. The life and the practice of Beopjeong are, indeed, the road of Zen. Through the writings and the Buddhist writings of Beopjeong, from the aspect of the Zen thought, three fields had been approached. Regarding the first, the origin of the Buddhist monks who had been made into the models by Beopjeong at the Seonjongsa Temple had been climbed up. They are the light and poor ascetics, the Buddhist monks who had been reclusive while reciting the poems, and the Buddhist monks who had pursued the realization through the inanimates. The second is the Zen thought of Beopjeong. During the young days, Beopjeong had heard about the topic of conversation of ‘the original appearance’. And, afterwards, the topic of conversation had been the Sisimma. Meanwhile, Beopjeong had emphasized the present time point that had been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Zen in the everyday life. And, his everyday life is the unfolding of Zen just the way it is. Regarding the third, from the non-possession thought of Beopjeong, in relation to the sympathetic awareness of the inanimates, etc., the world of his Inner Courtyard had been looked 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