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문학이 그린 똥의 얼굴 (1) -「분지」와 「똥바다」를 중심으로 (The Face of Dung drawn in Korean literature (1) : Centered on “Land of Excrement” and “Sea of Dung”)

6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2.06
69P 미리보기
한국문학이 그린 똥의 얼굴 (1) -「분지」와 「똥바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5권 / 449 ~ 517페이지
    · 저자명 : 김철

    초록

    이 글은 한국문학에서의 똥의 재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기획의 일부로서, 남정현의 「분지」(1965)와 김지하의 「똥바다」(1974)를 다룬다. 「분지」의 ‘민족-신체’의 은유를 통한 신식민지적 상황의 알레고리화는 사실상 식민주의적 인종주의의 표현이며 그것은 빈번히 성적 환상과 관련되어 있다. ‘똥으로 뒤덮인 한반도’의 이미지로 민족-신체를 형상화하면서 그 신체를 유린한 근원으로서의 적(=미국)에 대한 “날것 그대로의” 적개심과 증오를 거침없이 드러낸 「분지」의 반제국주의적 민족주의는 제국의 논리를 그대로 반복하는 피식민자의 신경증에 관한 하나의 임상 기록이다.
    「똥바다」는 핀소리 미학을 활용하여 탈장르적·탈경계적 혼성모방의 유례없는 미적 성취를 이룬다. 「똥바다」의 미적 특성은 바흐찐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의 원리를 부분적으로 구현하는 동시에 그것과 본질적으로 상충하는 양상을 보인다. 「똥바다」의 서사에 등장하는 모든 사물과 사건 및 인물은 야누스적 양면가치를 지닌 채 ‘유쾌한 상대성’의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의 가치, 절대적 필연의 세계를 향해 움직인다. 한편 김지하 시에 충만한 여성 혐오적 표현은 권위의 탈관(uncrowning)이 아니라 억압적 규범을 강화하고 그 질서를 재생산한다. 이것은 「똥바다」의 목표가 ‘친일청산’이라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바탕을 둔 데에서 기인한 결과다. 「분지」가 ‘민족-신체’의 알레고리화를 통해 신식민지적 질서에 대한 저항을 시도했다면, 「똥바다」는 ‘민족-정신’의 알레고리화를 통해 대중계몽의 선두에 선다. 「똥바다」는 「분지」가 첫발을 뗀, “똥=적”이라는 표상 방법의 계승이자 완성이다. 그것은 ‘외부의 적’을 통해 근대적 주체를 형성함으로써 허구적 사회통합을 시도한 20세기 한국 사회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우리’가 얻은 것은 거대한 나르시즘적 환상, 잃은 것은 실재에 대한 감각이었다.

    영어초록

    As a part of the project to explore the representation of Dung in Korean literature, this paper treats Nam Jung-Hyun’s “Land of Excrement” in 1965 and Kim Ji-Ha’s “Sea of Dung” in 1974. The allegory of the neo-colonial situation of Korea with the metaphor of ethnic-body in “Land of Excrement” is in fact an expression of a violent racism of the colonized and frequently related with a sexual fantasy. By figuring the ethnic-body with the image of “Peninsular covered with Dung”, the work bluntly reveals “bare, stripped-down” hostility and hatred to the enemy, that is, America as the ravager of Korean ethnic-body. However, this anti-imperialistic logic that repeats and mirrors that of imperialism could be read as a clinical record of neurosis of the colonized.
    Utilizing the feature of traditional Pansori, “Sea of Dung” achieves unprecedented aesthetic of cross-genre and hybrid-mimesis. The uniqueness of “Sea of Dung” partly realizes the principle of M. Bakhtin’s grotesque realism, on the other hand, fundamentally contradicts with it. All objects and figures of the work are not in the joyful relative world of ambivalent Janus, rather move to a teleological world. Meanwhile, the fullness of misogyny in Kim Ji-Ha’s poem does not so much lead to uncrowning of authority as to reinforcement of repression and reproduction of its order. In that sense, “Sea of Dung” is squarely discrepant from the world of grotesque realism.
    With the allegory of ethnic-body, “Land of Excrement” tried to resist against the order of neo-colonialism. In the same manner, “Sea of Dung” took the leading position of the public enlightenment through the allegory of ethnic-sprit. “Sea of Dung” inherited and completed the way of representing Dung as Enemy of which the first step was taken by “Land of Excrement.” They might be the portraits of Korea in the 20th century, which had sought fictional social integration by formation of modern subject through the production of outer-enemies. In the meantime, what we have gained was a huge narcissistic fantasy and lost was the sense of the Re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