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또 하나의 문화』의 여성시에 나타난 ‘차이’라는 여성 연대의 조건과 가능성 (‘Difference’ as the condition and possibility of women’s solidarity in the women’s poetry of the magazine 『Alternative Culture』(Ddo hana eui munhw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0.04
33P 미리보기
『또 하나의 문화』의 여성시에 나타난 ‘차이’라는 여성 연대의 조건과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60호 / 119 ~ 151페이지
    · 저자명 : 김보경

    초록

    본고는 여성운동·문학사에 있어서 무크지 『또 하나의 문화』(이하 『또문』)가 차지했던 위치를 가늠하고 『또문』의 주요 문제의식을 추출하는 한편, 『또문』에 실린 여성시를 중심으로 그러한 문제의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심화되고 해소되었는지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문』은 여성 해방 운동 주체에 대한 상상력이 전형화 되는 것을 경계하고 저마다 다른 위치성을 지닌 여성들의 연대에 기초해 여성 해방을 도모했다. 『또문』의 문학 작품에서는 남성/여성뿐만 아니라 여성들 간의 차이와 분할을 생산하는 권력의 문제가 다뤄지는데, 본고는 ‘집 안의 여성’에 대한 『또문』의 시각이 드러나는 시들에 주목했다.
    먼저 고정희에게는 부르주아 계급인 여성들을 여성 해방의 연대체로 끌어안을 수 있을지가 문제가 된다. 고정희의 시에서는 이러한 여성들이 ‘정실부인’이라 지칭되며 비판되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서로 간의 차이를 적대나 분열을 넘어서 연대의 기반으로 삼고자 하는 의식이 나타난다. 그 가능성은 ‘현장’에 대한 주목으로 구체화된다. 고정희는 「여자가 하나 되는 세상을 위하여」나 「우리 시대 섹스와 사랑 공청회」 등에서 ‘현장’에 모였을 때 발생하는 제각기 다른 위치의 여성들로 구성된 연대체를 그려낸다. 이때 서로 다른 여성들을 직접 시의 화자로 끌어 들이는 형식은 다양한 여성들의 위치성을 드러내는 한편 서로 간의 모순과 충돌, 궁극적으로 연합과 연대의 장면을 부조하는 데에 효과를 거둔다.
    김혜순 시의 경우 『또문』에 실린 모녀관계를 모티프로 삼은 시들을 통해 세대 간 차이를 연대의 조건으로 삼고자 하는 주제 의식을 살펴볼 수 있다. 주부라는 범주는 세대론적 인식을 경유하며 ‘어머니’라는 범주로 문제시 되었다. 김혜순은 기본적으로 세대가 달라져도 여성에게 대물림되는 폭력의 역사를 인식하고 있지만, ‘엄마-딸’의 관계는 등질성이 아닌 차이에 의해 정립된다. 「두 여자의 일기」, 「두 편의 고백」, 「엄마와 딸의 공상」은 딸의 일기 혹은 시가 그대로 차용된 형식을 취하며 복수적 주체를 재현하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또문』이 추구한 페미니즘 운동의 복수성이라는 이념을 구현한 것이다.
    여성 간의 차이를 중요한 문제로 다뤘던 여성운동 잡지인 『또문』을 살펴보는 일은 여성 간 차이라는 문제가 중요한 의제로 회귀한 현 시점에서 보다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페미니즘 운동의 주체를 단일화 하는 방식으로 실천의 동력을 강화하기보다는, 어떤 위치의 여성이든 페미니즘 운동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한결 같은 입장에서 페미니즘 실천의 다각화를 꿈꾸었던 『또문』은 여성 간 차이를 연대의 기반으로 삼아야 하는 지금 여기에도 중요한 통찰을 던져 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think about the position of the magazine 『Alternative Culture』 in the history of women’s movement and women’s literature, to draw out the main issue of the magazine and to see how women’s poetry deepens and resolves the issue. 『Alternative Culture』 took care not to typicalize the subject of woman liberation and tried to liberate women based on the solidarity of differently situated women. The poems of 『Alternative Culture』 are about not only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but the difference between women, which is related to the mechanism of power. Specifically I focus on the poems dealing with ‘the women in the house’ or ‘housewife’ problem.
    Go Jeong Hee threw a question how to be in solidarity with bourgeois women. She criticized them as a ‘housewife(Jeong sil Bu in)’, on the other hand she tried to make the difference a condition of solidarity ultimately. The possibility of the solidarity is specified in the site of resistance. 「For the women-united-world」, 「The public hearing about sex and love of our times」 shows that solidarity becomes a reality when different women gather in the same site. Furthermore she makes other women subjects speak together in each poems so that she depicts the contradiction, conflict, alliance and solidarity between women.
    Kim Hye Soon’s poems about mother-daughter relationship shows the theme of solidarity based on difference. The category of ‘Housewife’ is identified with ‘mother’(who are mostly housewives at that time) among the 『Alternative Culture』 editors. Kim Hye Soon were aware of the history of violence which passed on to the daughters, but she didn’t see mother and daughter are in the same situation and caught the difference. 「Journals of two women」, 「Two confession」, 「Daydream of mother and daughter」 are made of the journals or poems of daughter and mother, and this style represents the plural subjectivity of women.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theme of 『Alternative Culture』, the plurality of feminism subjects and movements.
    It is meaningful to read 『Alternative Culture』 which focuses on the theme of difference between women because ‘difference’ becomes an important agenda in the recent feminism movement in Korea. 『Alternative Culture』 dreams about the pluralization of feminism movements with the belief that all the differently situated women could be the feminist rather than insisting the singularization of women subject. In that point 『Alternative Culture』 still gives us a lesson as we are passing through the time solidarity based on difference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