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땅의 사람들, 대지의 언어 - 고정희와 조이 하조의 또 하나의 생태시학 (Earth’s Language and the People of Land: Another Ecopoetics of Joy Harjo and Goh Jung He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1.08
28P 미리보기
땅의 사람들, 대지의 언어 - 고정희와 조이 하조의 또 하나의 생태시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권 / 2호 / 297 ~ 324페이지
    · 저자명 : 정은귀

    초록

    본 논문은 그간 고정희 비평사에서 간과되었던 생태시학적 관점에서고정희 시의 현재적 의미를 새롭게 읽어내고자 한다. 『지리산의 봄』과『뱀사골에서 온 편지』를 중심으로 땅, 대지, 그 안의 사람들에 주목하는본 논문은, 그간 주로 탈식민주의나 페미니즘 관점에서 진행되었던 고정희 시 읽기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시도인 동시에 지금 시대 시의 실천적자리를 묻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아메리카 인디언 시인으로 고정희와 비슷한 문제의식을 지닌 조이 하조의 시를 함께 읽는데, 이 두 시인은 모두 땅에 기대 살아가는 사람들, 특히 자기 목소리와 자신의 몫을갖지 못한 채 살아가는 소외된 자들의 가려진 목소리를 대지에 밀착된언어에 담아내고자 했다. 이 두 시인에게 땅은 곧 땅 위에 깃든 사람들에대한 사랑의 의미를 가지며 시 쓰기는 그 사랑을 언어라는 형식을 빌어담아내는 적극적인 정치적 실천의 방식이었다. 고정희와 조이 하조의 시에서 드러나는 땅과 사람들, 대지와 언어의길항 관계는 시인들이 각자 경험한 식민 상황에서의 남다른 문제의식을땅과 대지에 대한 지극한 관심 안에 담아냈다는 점이 기존 생태시학의주된 흐름과는 다른 방식으로 문제적이다. 이들에게는 기존 생태시학이몰두한 자연 대 문명의 대립보다는 근대의 남성적 지배질서에 반하는감각적 체험의 중요성이 궁극에는 보살핌과 품어냄의 시선 속에서 빛나고 있다. 언어적 측면에서도 난해한 형식미를 추구하기보다는 일상적인구어를 동원하는 이들 두 시인의 시 작업은 남성 시인들이 주도한 주류생태시학과는 다른 방식의 혁명성을 선취하고 있는데, 그것은 아마 땅의사람들과 대지의 언어를 그리는 여성 시인 특유의 섬세한 돌봄의 마음,곧 사랑이 깃든 언어에서 길어 올릴 수 있는 희망이 아닌가 한다. 현실에대한 비판적 사유에 기초한 이들의 여성적 시 쓰기가 궁구해 온 길이詩라는 미적 형식을 통해 이 시대의 새로운 정치성을 실현하고 있다는점이 흥미롭다.

    영어초록

    As a way of reevaluating Goh Jung Hee’s poetry and the nature of its feminine voice twenty years after her death, this paper revisits a few poetry books of Goh from Tears Blossom (1986), Spring at Jiri Mountain (1987), to A Letter from Bamsagol (1991) within the context of ecopoetics, which has long been neglected in the history of Goh Jung Hee criticism. In the process of highlighting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ecopoetics through Goh Jung Hee’s poems, this paper reads the poems of Joy Harjo, a contemporary American Indian poet, who shares a similar interest, yearning, and love for the people of land and earth’s language.
    Though rooted in different cultures, histories, and languages, Goh and Harjo’s poems about common people and the land are undeniably linked to the stark reality of people whose voices are hidden in the long history of deprivation. Their poems, when re-evaluated from the angle of ecopoetics, are problematic and revolutionary in the sense that people’s separation from the earth and the loss of their original claim for the land are regained and recaptured in their poetic strategies to reconstruct the relations between the land and people in the eyes of caring, embracing, and nursing. In those languages of caring and nursing, in the enduring process of waiting and loving, their poems reach another level of ecopoetics, successfully performing the politics of aesthetic form beyond critical thinking of reality and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