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에 대한 또 하나의 기억: 김달수의 「손영감」을 중심으로 (Another memory of the Korean War: Focusing on Kim Dal-soo's “Son Yeong-ga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2.10
28P 미리보기
한국전쟁에 대한 또 하나의 기억: 김달수의 「손영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88호 / 177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시성

    초록

    한국전쟁을 남한과 북한의 내전, 또는 냉전 체제 가운데 벌어진 미국과 소련 양 진영의 대리전쟁으로만 여긴다면, 재일조선인의 존재는 잊히기 쉽다. 이들은 전쟁의 피해를 직접 입진 않았지만 제국주의 몰락 이후 미군정의 지배하에 냉전 체제로 이행하던 일본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한국전쟁에 연관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작가 김달수의 단편 소설 「손영감」(1951)을 통해 한국전쟁에 대한 이들의 기억을 공유하고자 한다.
    김달수는 재일조선인 1세이자 오늘날 재일조선인 작가의 위치를 만든 것으로 평가되는 인물로, 해방 후에도 일본어 창작을 지속한 것이 특징적이다. 그는 재일조선인문학회에 속해 있으면서 민족잡지인 『민주조선』 의 창간 및 발행에 주요한 역할을 했고, 이후에는 일본의 진보적인 문인들이 새로운 일본 문학의 건설을 위해 만든 신일본문학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조련이 강제 해산된 이후에는 일본공산당에도 가입한다. 이처럼 그는 여러 단체 및 매체와 관계하며 복잡한 정체성을 가졌던 인물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신일본문학회의 기관지 『신일본문학』의 1951년 9월호에 일본어로발표된 「손영감」은 표면적으로는 일본인 독자에게 한국전쟁의 실상을 알리고 공투에의 참여를 촉구하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지만, 그 서사를 상세히 들여다보면 작가의 복잡한 정체성만큼이나 복잡하고 모순된 입장을 드러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그 장면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손영감」이라는 작품이 오늘날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Koreans in Japan are forgotten if we regarded the Korean War as a civil wa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or a proxy war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They were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war, but were involved in the Korean War in some way in Japan, which was transitioning to a Cold War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defeat.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share their memories of the Korean War through Kim Dal-soo's short story “Son Yeong-gam” (1951).
    Kim Dal-su is a first generation Korean-Japanese and he is considered to have created the position of a Korean-Japanese writer. It is known that he continued to create novel in Japanese even after liberation. Also, he belonged to the Korean-Japanese Literary Association in Japan and played a major role in the publication of the ethnic magazine Min-ju Chosun (Democratic Chosun). He was also a member of the New Japan Literature Society, which was created by progressive Japanese writers for the construction of new Japanese literature, and joined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after the forced dissolution of the Korean-Japanese Association. As such, he was a person who had a complex identity in relation to various organizations and media.
    “Son Yeong-gam” is a work published in Japanese in the September 1951 issue of New Japanese Literature, a house paper of the New Japanese Literature Society. On the surface, this work reveals the intention to inform Japanese readers of the reality of the Korean War and urge them to participate in the battle. However, if you look at the narrative in detail, it reveals a position as complex and contradictory as the author's complex identity.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the narrative in detail and think about how this work can mean to us the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