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스또예프스끼 후기 소설 속의 그리스도 (Christ in the last novels of F. M. Dostoevsk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08.09
40P 미리보기
도스또예프스끼 후기 소설 속의 그리스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20권 / 3호 / 305 ~ 344페이지
    · 저자명 : 허선화

    초록

    도스또예프스끼의 후기 장편들에서 그리스도는 성서를 비롯한 텍스트 속의 텍스트를 매개로 하거나 실제 회화, 혹은 언어 회화, 그리고 인물들의 말을 통해 텍스트 속으로 진입한다. 소설의 다양한 인물들은 이러한 다각적인 경로를 통하여 그리스도에 대한 자신들의 이해와 태도를 드러내며 그 과정에서 작가와 충돌하거나 작가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스또예프스끼의 그리스도론의 핵심에는 부활의 주제가 놓여있다.『죄와 벌』에서는 나사로의 부활에 대한 성서 텍스트를 통해 부활의 능력을 가진 그리스도에 대한 소냐의 단순하고 열렬한 믿음이 그려지며 라스꼴리니꼬프의 부활의 가능성이 암시된다. 이후『백치』에서는 홀바인의 그림을 통해 과연 그리스도에게 가공할 자연의 힘인 죽음을 극복할 부활의 능력이 있는가의 문제가 로고진과 입뽈리뜨를 통해 제기되며 소설 속에서 그 문제는 긍정적인 답을 얻지 못한다.『악령』에 이르러 끼릴로프는 그리스도조차 자신의 부활에 대한 허위적인 기대에 속은 인간으로 묘사한다. 마지막 소설『까라마조프의 형제들』에서는 천국의 연회를 주재하는 그리스도를 묘사함으로써 그리스도가 부활했음을 최종적으로 긍정하며 또한 모든 인간이 부활할 것이라는 기독교의 메시지가 소설 곳곳에서 울려 퍼지고 있다.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과 불신의 공존은 모든 소설들에서 다양하게 변주된다.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단순히 믿고 고백하는 인물들이 있는가 하면 믿음과 불신 사이에서 흔들리며 고뇌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소냐, 쁠리헤리야 알렉산드로브나. 리자베따 쁘로꼬피예브나, 소피야 안드레예브나 등의 여인들과 『까라마조프의 형제들』의 빠이시, 조시마, 알료샤 등이 전자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후자에 속하는 인물들 중『백치』의 로고진과 입뽈리뜨는 이미 상실된 믿음을 회복하고자 하나 믿을 수 있는 근거를 발견하지 못하여 절망한다.『악령』의 스따브로긴은 수학적 진리와 그리스도 사이에서 분명한 선택을 내리지 못하며 신인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확신하지 못한다. 또한 그는 그리스도의 용서를 믿지 못하여 자살하고 만다. 끼릴로프는 믿고자 하는 강한 열망은 있으나 믿을 수 없는 궁지에 처해있으며 그 궁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역시 자살을 선택한다.『까라마조프의 형제들』의 이반은 그리스도의 사랑이 인간에게는 불가능한 이상이라는 신념과 그리스도의 인류에 대한 사랑이 대다수 인간이 필요로 하는 사랑이 아니라는 의심으로 인해 그리스도를 믿지 못한다.
    도스또예프스끼는 카톨릭 교회와 정교회가 서로 다른 그리스도를 전하고 있으며 오직 정교회에서만이 순수한 그리스도의 형상이 보존되고 있음을 그의 소설들에서 줄곧 역설한다.『백치』의 므이시낀, 『악령』의 샤또프,『까라마조프의 형제들』의 빠이시와 조시마는 이러한 작가의 확고한 믿음을 전달하는 일종의 대변인 역할을 수행한다.

    영어초록

    In the late novels of F. M. Dostoevsky Christ comes into the texts through the text in the text including the Bible, pictures or verbal pictures and the words of characters. Various characters in the novels through these diversified ways reveal their understanding of or attitude to Christ, sometimes colliding with the author or acting as his spokesmen.
    The problem of resurrection is placed in the center of Dostoevsky's Christology. In Crime and Punishment is illustrated Sonya's fervent trust in Christ who owns the power of resurrection and i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Raskol'nikov's spiritual resurrection. In the next novel The Idiot Rhogozin and Ippolit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Christ really owns the power to overcome death, using Holbein's picture. In The Devils Kirillov describes Christ as a man who is deceived by hope of his own resurrection. In the last novel The Brothers Karamazov Christ presides over the Heavenly feast, affirming his own resurrection and the message of universal resurrection governs the atmosphere of the novel.
    Coexistence of faith and disbelief is varied throughout all the novels. Some women including Sonya and Arkadii's mother, Paisii, Zosima and Alesha simply confess their faith in Christ as their Savior. Others waver in agony between faith and disbelief. Among them Rhogozin and Ippolit strive to restore their fallen faith but they can't find grounds for believing. Stavrogin don't choose between mathematic truth and Christ and can't be convinced of his faith in God-man Christ. Kirillov has strong desire to believe but he is stuck in dilemma of being unable to believe on logical grounds. Ivan can't believe in Christ because of his doubt that Christlike love is unattainable ideal for man and love of Christ for mankind is that kind of love that most of people don't really need.
    Dostoevsky asserts throughout his novels that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Orthodox Church believe in different Christ and only in the latter is preserved the pure image of Christ. Myshkin, Sharov, Paisii and Zosima play the role of spokesmen for the author, delivering his firm conviction on this m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어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