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입센의 희곡 《우리 죽은 자들이 깨어날 때》에 나타난 창작 모티브와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rrativity of “When we dead awaken” of Henrik Ibse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8.06
38P 미리보기
입센의 희곡 《우리 죽은 자들이 깨어날 때》에 나타난 창작 모티브와 해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극교육연구 / 32권 / 32호 / 67 ~ 104페이지
    · 저자명 : 조태준

    초록

    현대 연극사에서 입센이 차지하는 위상은 가히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일찍이 그는 당대 사회가 안고 있던 도덕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이른바 '입센주의(Ibsenism)’ 효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근대 사실주의 산문극의 창시자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 와서는 특유의 심리학적인 통찰과 상징주의 극작술, 극적 산문이 지닌 음울한 시성(詩性)으로 인해 새로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의 희곡들은 셰익스피어 다음으로 전 세계 무대에 가장 자주 오르내리는 레퍼토리로 손꼽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셰익스피어와 비교해볼 때 그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지나치게 미진한 실정이다. 여기에는 다분히 그에 대한 편견과 몰이해가 작용한다고 본다. 그것은 다름 아닌 그의 이름 옆에 늘 붙어 다니는 ‘사실주의 극작가’라는 칭호와 관련이 있다.
    실제로 입센은 사실주의에 속하는 작품보다 상직적 계열의 작품들을 더 많이 남겼다. 더욱이 그런 과정에서 그의 극작술은 고도로 진화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작가로서의 그의 위상을 재고하기 위해서는 그와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더군다나 입센이 지향했던 사실주의는 우리가 막연히 알고 있던 그것과도 거리를 두고 있다. 무엇보다 그가 말하는 사실주의는 사진처럼 완벽하게 모사된 현실이 아니다. 극에서의 진실은 배우와 관객으로 하여금 믿음을 갖게 하는 진실을 말하며, 그렇기 때문에 그 진실은 특정 상황이 아닌 상징으로 변형된 삶이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해볼 때, 입센 드라마에 대한 되읽기와 해석의 문제는 어떤 특정 성향에 의거하기보다는, 개별 작품의 서사 층위에서 생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당위성을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입센의 상징주의 드라마, 그 중에서도 마지막 희곡인 《우리 죽은 자들이 깨어날 때》를 중심으로 작품 고유의 서사성(narrativity)과 그 생성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on the original interpretation of Henrik Ibsen’s play, <When We Dead Awaken> by clarifying the creation motives of drama, and advancing a hypothesis which explains major character’s path into death and liberation as an act of atonement. The analysis encompasses reflections on the meaning of terms such as love, life, art and guilt in the context of the work. <When We Dead Awaken> departs from the principles of art to which Henrik Ibsen’s earlier social and later psychological dramas conform, and for this reason it is sometimes considered inferior to them. It delves into the realm of pathology, dealing with autobiographical improbabilities rather than realistic tendancy, with symbolic motive rather than actual motive. Solely as an artistic creation, however, the play has enduring merit. It is Ibsen’s last production subtitled ‘dramatic epilogue’; the audience may read in it the intention of the dramatist to express some deeply felt final message, one that could be clothed only in poetically suggestive and symbolic language.
    Overall, <When We Dead Awaken> is a complex play about art and love, and which has centered around what is declared to be the non-reality of the characters, a better word is the symbolism of the characters. The motive forces of human nature are clothed with bodies and endowed with life. Such beings regard all that is external to these, including their nearest associates, as material completely subject to the molding power of the motive that rules them. Impractical as this is as a method of life, it has a certain effectiveness as a method of art. To picture half-true motives as completely controlling these lives, sincere even to utter recklessness, is to warn against the narrowing of life. Ibsen's purpose is to point a moral, that men and women are not merely playmates, but primarily co-workers. And the action of the play is in bringing together those who have some common ground of aspi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