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국가 프로젝트로서 ‘땅굴’과 전방의 냉전경관화 (Enemies Under Our Territory: Tang-kul Fear as a Regime of Cold War Landscap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9.08
45P 미리보기
1970년대 국가 프로젝트로서 ‘땅굴’과 전방의 냉전경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 사회 / 27권 / 2호 / 7 ~ 51페이지
    · 저자명 : 전원근

    초록

    한국사회에서 ‘땅굴’은 야생동물의 거처라는 뜻 외에 군사분계선 남방에서 발견된 4개의 북한의 군사적 지하 갱도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지난 수 십 년간 땅굴은 우리가 국민으로서 어떠한 자세와 시각을 가져야 하는지를 상기시키는 안보 교육장이자, 전방의 상상에 중요한 요소로 작동해왔다. 이 연구는 땅굴이 한국사회가 공유하는 하나의 경관으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1970년대 데탕트 속에서 기존의 지정학적 특권을 회복하고자 했던 정부의 노력들을 통해 살펴보고, 그것이 적아식별, 전방과 후방, 도덕과 비도덕 등에 대한 이해와 연결되며 통치가 작동하는 하나의 방식이었음을 분석한다. 총력안보를 내세워 기존의 지정학적 특권을 회복하고자 했던 한국정부는 1974년, 1975년, 1978년에 발견된 세 개의 땅굴을 북한 위협의 국내외 홍보를 위한 국가적 프로젝트로서 적극 활용하였다. 이에 ‘갱도’나 ‘터널’ 대신 ‘땅굴’이라는 용어와 함께 지금까지 통용되는 땅굴의 정치적 레토릭이 만들어졌으며, 국가 스스로 전방과 후방의 경계를 해체함으로써 한국의 영토를 예외적 통치가 허용되는 유사전장의 공간으로 창출하였다. 또한 내외국인 홍보를 위해 추진했던 시찰과 단체관람, 관제데모와 영화상영 등을 통해 땅굴은 안보관광의 시초로서 전방의 냉전경관이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출발점이 되었다. 땅굴은 하나의 장소를 벗어나 다양한 경관적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 배태되어 상상되고 경험된다. 냉전경관은 이러한 양상들을 하나의 공간적 레짐으로 개념화할 수 있게 하며, 그것에 얽힌 영토성에 대한 이해방식과 상상을 변화가능한 것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영어초록

    ‘Tang-kul’ is an ambiguous terminology which indicates not only wild animal’s underground nest, but also 4 tunnels dug by North Korea under the Demilitarized Zone, a byproduct of historical circulation of fear among Two Koreas and US military power. They have been a famous ‘security tour sites’ of DMZ, and have operated as a moral frame related to our understanding of national territory. This article examines how Tang-kul has been a shared rhetoric and landscape in South Korea, through analyzing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 efforts such as speeches, professional discourses, schoolbooks, film, tourism. These efforts were related to identification of self and enemy, danger and security, and understanding of national territorial boundaries, such as the front and rear areas. The SK government, which had been losing its geopolitical privileges in the Free World in the detente of 1970s, actively utilized Tang-kul to promote NK’s threats. In this process, ‘Tang-kul’ became a main terminology replacing ‘Teoneol’(tunnel) or ‘gaengdo’ which are more professional and neutral terms. This rhetorics also dismantled the imaginary territorial boundary of the front and rear to produce SK territory into a space of exception in which exceptional governing could be justified and demanded. This was practiced through compulsory organized tourism, cultural representation and government-inspired demonstration. Still now, after the end of cold war, particular groups are suffered from Tang-kul’s fear and anxiety. This article requests to examine (de)construct of Cold war landscapes and their effects to reconfigure what was cold war to us and what should it be from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