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트남의 문화·상징적 공간, 딩(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and Symbolic Space of Vietnam, ‘Đình’(亭))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0.02
38P 미리보기
베트남의 문화·상징적 공간, 딩(亭)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연구 / 23권 / 1호 / 165 ~ 202페이지
    · 저자명 : 박희

    초록

    이 글은 현재 베트남의 독특한 문화·상징적 공간으로 평가받는 ‘딩’(亭, đình)이 형성되어온 과정을 역사 사회학적 시각에서 분석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일반적으로 베트남의 ‘딩’은 자율적인 행정적 기능과 제의를 위한 종교적 기능을 수행하면서, 띤깜(情感, tình cảm)이라는 베트남 고유의 정서적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문화적 공간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런데 베트남의 ‘딩’에 대한 연구는 15-16세기 무렵에 하노이 부근의 북부지역에서 건립되어 전국으로 확산된 현재의 ‘딩’의 역사적 기원에 대해서는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중국의 진한시대(秦漢時代)에 변방의 군사·행정적 사회통제 기능과 우전(郵傳)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등장한 ‘정’(亭)이 그 기원이 되고 있으며, 당대(唐代)의 ‘기미주’(羈縻州)제도와 명·청대(明·淸代)의 정목제(亭目制)의 영향을 받으며 베트남의 자율적인 지방의 행정조직이자 자연스런 촌락조직으로 자리 잡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15-16세기에 그것이 문화적 공간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었던 이유는 중국의 명대(明代)에 도입된 향약(鄕約)의 영향이 결정적이었다는 점을 제시하고, 그것이 전통적으로 존속해오던 베트남의 고유한 문화전통과 역동적인 문화통합의 과정을 밟으며 남부로 확산되어갔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from the historical sociological perspectiv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Đình’(亭), which are now regarded as the unique cultural and symbolic spaces of Vietnam. In general, ‘Đìnhs’ in Vietnam have been evaluated as the cultural spaces that perform autonomous administrative function and religious function for rituals, while maintaining the Vietnamese emotional relationship, ‘tình cảm’. However, the studies of ‘Đình’ in Vietnam have not been made clear about the historical origin of 'Đìnhs', which have been built in the northern part of Vietnam near Hanoi in the 15-16th century and spread to the whole country.
    However,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that the origin of the ‘Đình’(亭) was the ‘Ting’(亭) appeared in China’s ancient Qin·Han era, which perform the functions of military, administrative and social control and of postal pas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eripheral regions, and that under the influence of the ‘bridle with partial autonomy’ systems of ‘Jīmízhōu’(羈縻州) in the Dang Dynasty and of ‘Jeongmok’(亭目) system in the Ming and Qing Dynasty, and ‘Đìnhs’ became the autonomous local administrative and natural village organizations in Vietnam.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Chinese ‘village codes’(鄕約) introduced in Ming Dynasty was crucial for the formation of 'Đình' as the embodiment and crystallization of a Vietnamese traditional cultural space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and that it could spread out to the south through the dynamic integration with the existing Vietnam's traditional culture in those reg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