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과제와 전망: 제도적 디커플링(Institutional Decoupling) 연구를 중심으로 (Institutional Decoupling: Conceptual Review and Future Research)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08
30P 미리보기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과제와 전망: 제도적 디커플링(Institutional Decoupling) 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수록지 정보 : 인사조직연구 / 25권 / 3호 / 121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동수, 차현진, 박상찬

    초록

    본 논문은 지난 40여 년간 진행된 신제도주의 조직이론 연구를 제도적 디커플링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한다. 신제도주의는 대표적인 조직이론 패러다임으로 국내외 조직연구에서 확고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으나, 새로운 이론 패러다임의 도출 및 검증이나 다른 패러다임 간 대화와 통합에 미치는 근본적인 기여 측면에서 학문적 입지에 걸맞은 영향력을 앞으로도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인지 의문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제도적 디커플링 개념은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가장 초기 시점부터 등장하여 최근까지 수많은 연구에 활용되기에 이러한 상황을 신제도론이 발달한 역사적 맥락에서 조망하는 데 유용하다. 본 논문은 제도적 디커플링 개념이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에서 갖는 의미를 논의하되, 관련 연구 동향을 단순 소개하는 것에서 벗어나 지금까지 연구가 신제도론의 핵심주장을 명확하게 반영하고 이론 패러다임의 확장에 기여했는지 근본적 수준에서 재고찰한다.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에 따르면 조직은 사회구성원이 바람직하고 당연하다고 여기는 가치와 규범을 반영하는 공식구조를 일률적으로 채택하도록 동형화 압력을 받는다. 그러나 제도화된 구조는 개별 조직의 특이성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일상적 조직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기술적 합리성 추구와 상충될 수 있다. 이처럼 의례적 규율로서 공식구조를 채택해야 하는 제도적 요구와 일상 업무의 기술적 요구가 서로 다른 경우 공식구조와 실제 운영 사이에 생겨나는 괴리 현상이 디커플링이다. 본 논문은 디커플링 개념이 처음 제시된 이후 연구자들이 이를 해석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개념적, 맥락적 범위가 상당히 확장되었음을 밝힌다. 그러한 확장이 신제도론의 발전에 끼친 긍정적 효과로서 제도론적 관점을 적용한 연구의 폭이 넓어지고 인접한 다른 이론 패러다임 간 학문적 대화와 통합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개념이 지나치게 확장되어 모호성이 증가하고 방법론적 엄밀성 제고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도 생겨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만한 중요한 쟁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decoupling and critically examines whether and how it contributes to the conceptual and contextual extension of neo-institutional approaches to organization studies. A general premise of neo-institutionalism is that organizations adopt formal policies, practices, and structures, not because there is strong empirical evidence that they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because they have become socially accepted as appropriate, desirable, or proper. However, scholars have noted that formal adoption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actual implementation as a result of two conflicting forces: the generalized institutional pressures to require formal adoption and the organization-specific technical demands to avoid operative inefficiency associated with the adoption. In this paper, we review and critique recent studies guided by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decoupling and show that it has great potential not only for promoting theoretical novelty but also for facilitating productive dialogue between neighboring paradigms in organization studies. We also point to a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ceptual and empirical studies as well as the diversity of such studies in terms of empirical contexts. Yet our review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decoupling has been over-extended in some studies, leading to theoretical ambiguity and misinterpretation. We conclude our review by examining critical issues to resolve conceptual over-extension and providing several avenues for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