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프리카 도시 근교 마을의 공간과 의식 - 코트디부아르 브로코스 마을 사례 - (Space and consciousness of the African suburban villag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5.02
40P 미리보기
아프리카 도시 근교 마을의 공간과 의식 - 코트디부아르 브로코스 마을 사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아프리카연구소
    · 수록지 정보 :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 37권 / 1호 / 99 ~ 138페이지
    · 저자명 : 이한규

    초록

    아프리카 전체 인구의 40~60%가 도시에는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줄어들지 않는 한 도시 확장은 앞으로도 불가피해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시의 확장은 도시 자체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도시 근교의 일차적 사회관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욱이 아프리카 도시들은 도시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 때문에 와해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다 문제를 재발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분절된 사회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도시의 확장은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는 사회체제를 가지고 있는 도시와 달리 소규모 인구를 통해 유지되는 근교의 사회체제와는 부적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 근교는 서구 도시에서 볼 수 있는 위성 도시적인 형태로 건설된 것이 아니라 도시가 형성되기 이전에 존재했던 전통 공동체로서의 마을이 형성되어 있던 곳이다. 본 연구의 조사 지역인 코트디부아르 경제 수도 아비장(Abidjan)의 근교 브로코스(Brokoss)가 대표적이다. 본 연구자는 아비장 근교에 위치한 에브리에(Ebries) 전통 마을 브로코스를 현지 방문하여 월로 10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확보한 녹취록과 지역 주민 1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18세기부터 고유한 공간을 유지해 왔던 에브리에 사람들의 공간은 아비장의 도시화로 인해 도시 근교로 변하였다. 더욱이 도시 이주민이 증가하면서 아비장 근교에서 이주민의 거주는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되었고, 브로코스는 더는 인종적 혹은 민족적 구분을 통한 자신들 만의 문화적 공간으로의 기능을 가질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문제는 아비장의 도시화와 이주민 유입에 대해서 에브리에 사람들조차도 브로코스 공간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거의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다. 자본주의 역동성의 원천인 도시에 인접한 브로코스 마을 사람에게는 이주민들이 도시 사람들과 가깝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들을 응집력 있는 전체 문화로 통합하기가 쉬워 보이지 않는다. 경험과 체험을 통한 공동체적 공간은 점차 쇠퇴하고 있고 자본주의 기능적 공간이 브로코스 마을을 압박하고 있다. 3세기 동안 유지해 왔던 문화적 공동체로서 지각 있는 ‘재현의 공간’으로 재생산되기 위해 브로코스의 에브리에 사람들은 도시와 근교, 원주민과 이주민, 경제와 문화라는 사이에서 간주관적 공유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해 보인다.

    영어초록

    Since 40~60% of entire African population leaves in the cities, the expansion of cities seems inevitable unless the population movement to the city doesn’t decrease. However, such expansions of the city not only stops at the problem of the city itself, but affect the primary social relations of the suburbs. Besides, African cities do not collapse because of the problems that the cities experience, but tend to make the problems recur somewhere else. This is because the expansion of the cities of segmented social characteristics would be inappropriate, as opposed to the cities of social structure for large population, for the social structure of suburbs that are maintained through small population. However, the suburbs are not constructed in the form of satellite city commonly seen in the western cities, but are in the form of traditional community that existed before the formation of cities. The target of this study, Brokoss, which is the suburb of the economic capital of Côte d´Ivoire, Abidjan, is a typical cas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visited Brokoss, Ebries’s traditional village near the suburb of Abidjan, and analyzed the transcript of in-depth interviews of 10 elders and questionnaire of 103 local residents acquired from the visit.
    The place of Ebries’s people, which maintain its unique space since the 18th century, has turned into the city suburb due to the urbanization of Abidjan. Furthermore, with increasing migrants to the city, migrants residing in the suburbs of Abidjan has become an familiar scene, Brokoss lost its function as their own cultural space through racial or ethnic classification. However, more fundamental problems lies with the fact that even the people of Ebries had diffused perception on the value of Brokoss, in regards to the urbanization of Abidjan and influx of migrants. For the people of Brokoss, which is located near city, the source of capitalistic dynamics, migrants are forming close and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 people of the city, but it seems hard to integrate them into the whole culture with cohesiveness. The communal space through experience is declining, and capitalistic functional space is pressuring the village of Brokoss. To be recreated into discreet ‘space of revival’ as a cultural community that has been maintained for 3 centuries, the people of Ebries in Brokoss are in absolute need of intersubjective sharing process between the city and suburb, locals and migrants, and economy and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