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채권자대위권의 행사에 의한 처분제한과 대위채권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추심권능 내지 변제수령권한에 대한 압류명령 등의 효력 - 대법원 2016.8.29. 선고 2015다236547 판결 - (Restriction on the Disposition by the Exercise of Obligee’s Right of Subrogation and Effects of Subrogating Obligee’s Attachment Order, etc. on Collection Authority or Authority to Receive the Repaym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8.06
30P 미리보기
채권자대위권의 행사에 의한 처분제한과 대위채권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추심권능 내지 변제수령권한에 대한 압류명령 등의 효력 - 대법원 2016.8.29. 선고 2015다236547 판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19권 / 2호 / 499 ~ 528페이지
    · 저자명 : 양형우

    초록

    민법상 처분행위는 권리 내지 법률관계의 직접적인 이전・변경・소멸을 가져오는 법률행위이고 처분권자의 의사에 기초한 행위이므로, 민법 제405조 제2항에 의하여 제한되는 처분행위는 채권자의 대위권행사와 저촉되는 범위의 채무자의 행위 또는 채무자의 처분행위와 동일시할 수 있는 제3채무자의 처분행위가 된다. 피대위채권에 대한 압류・가압류명령이 제3채무자에게 송달되어 효력이 발생하면, 제3채무자는 압류・가압류에 의하여 채무자에 대한 지급이 금지되지만(민사집행법 제227조 제1항), 그것만으로는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권리변동의 효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피대위채권에 대한 압류・가압류명령은 민법 제405조 2항에 의해 제한되는 처분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반면에 민법 제405조 제2항의 권리처분은 채무자에 의한 권리의 변동을 의미하므로, 전부명령에 의하여 압류채권자는 민법상 채권양도와 마찬가지로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채권에 관하여 채권자로서의 지위를 승계한다. 따라서 피대위채권에 대한 전부명령은 민법 제405조 제2항에 의해 금지된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대위채권자의 소제기는 자기 채권의 보전 내지 실현을 위하여, 채무자의 채권을 추심한다는 점에서 실질상 압류・추심명령을 얻은 채권자가 추심소송을 제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채권집행은 금전집행이므로, 그 대상인 채권은 독립한 금전적 가치를 가지는 권리이어야 한다. 그런데 대위권 행사에 의해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피대위채권이 대위채권자에게 이전되거나 귀속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대위채권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추심권능 내지 변제수령권능을 처분하여 환가할 수 없으므로 이는 성질상 압류할 수 없고, 그 결과 그 압류명령은 무효이며, 유효한 압류를 전제로 하는 전부명령도 무효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채권자대위소송에서 제3채무자로 하여금 직접 대위채권자에게 금전의 지급을 명하는 판결이 확정된 경우, 피대위채권이 변제 등으로 소멸하기 전에 채무자의 다른 채권자가 이를 압류·가압류할 수 있지만, 피대위채권에 대한 전부명령은 무효이며, 또한 대위채권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추심권능 내지 변제수령권능에 대한 압류명령 등은 무효라는 대상판결의 태도는 타당하다.

    영어초록

    Under the Civil Act, the act of disposition is a legal act to cause the direct transfer, change or extinction of the rights or the legal relationship and is an act based on the intention of a disposition right holder, so the disposition act restricted in accordance with the Civil Act Article 405 Paragraph 2 becomes a disposition act of a third obligor that may be deemed the same as the obligor’s act or the obligor’s disposition act to the extent that it conflicts with the exercise of obligee‘s right of subrogation. If an attachment order or a provisional attachment order against the subrogated credit is sent to a third obligor and becomes effective, a third obligor is prohibited from paying to an obligor due to attachment or provisional attachment, but only with such fact there does not occur an effect of change in the right of an obligor against a third obligor. Therefore, an attachment order or a provisional attachment order against the subrogated credit does not fall under the category of disposition act which is restrict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405 Paragraph 2. On the contrary, the right disposition in the Civil Act Article 405 Paragraph 2 means the alteration of a right by the obligor, so on the basis of assignment order, the attachment obligee succeeds to the position of obligee with regard to the obligor’s credit against a third obligor like the assignment of credit under the Civil Ac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ssignment order against subrogated credit is prohibit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405 Paragraph 2. On the contrary, the filing of a lawsuit by a subrogating obligee may be considered as substantially not different from a collection suit filed by a obligee on the basis of an order of attachment and collection in that an obligor’s credit is collected for the preservation or realization of self-credit. Besides, the execution of credit is a monetary execution, so the targeted credit shall be a right with an independent monetary value. Even if the subrogation right is exercised, it does not follow that an obligor’s subrogated credit against a third obligor is transferred to or vested in the subrogating obligee. Accordingly because the collection authority or the authority to receive the repayment cannot be converted into money through a disposition, such authority cannot be attached by nature, and, as a result, such attachment order is null and void, and the assignment order on the premise of valid attachment is also null and void. Taking into such aspects,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 2015da236547 decision rendered on August 29, 2016 is justifiable, which declared that in the obligee subrogation suit if a decision ordering a third obligor to pay money to a subrogating obligee directly is fixed as final, other obligees of the obligor may attach or provisionally attach the subrogated credit before it becomes extinct due to repayment, etc. but assignment order against the subrogated credit is not valid, and a subrogating obligee’s attachment order, etc. against a third obligor targeting the collection authority or the authority to receive the repayment is null and voi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