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부지 · 이토 진사이(伊藤仁齋) · 정약용의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에 관한 비교연구 -『중용』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장과 『맹자』 ‘생지위성(生之謂性)’장을 중심으로- (The Study to compare the inmulseong dongi of Wang-Fuzhi, Ito Jin-Sai, and Jeong Yak-Yong – Centerd on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chapter titled Tianming-Zhi-Wei-Xing in Zhongyong and Sheng-Zhi-Wei-X)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03
30P 미리보기
왕부지 · 이토 진사이(伊藤仁齋) · 정약용의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에 관한 비교연구 -『중용』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장과 『맹자』 ‘생지위성(生之謂性)’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91호 / 235 ~ 264페이지
    · 저자명 : 김경희

    초록

    본 연구는 『중용』 ‘천명지위성’장과 『맹자』 ‘생지위성’장에 관한 왕부지 · 진사이 · 정약용의 주석을 비교하여, 인성과 물성의 동이에 대한 이론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규명함으로써 세 학자의 사상적 특징을 밝혀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중용』 ‘천명지위성’장 주석에서 세 학자의 차이점과 아울러 공통점 및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주희는 만물도 인간과 똑같이 건순·오상의 도덕성을 인정하였다. 이에 대해 왕부지는 인성과 물성이 분리될 뿐만 아니라 물성이라고 말하는 것도 그 사물 자체의 본성이 아니라 사람의 관점에서 규정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진사이는 개나 닭이 무지(無知)하여 비록 선도(善道)와 선교(善敎)가 있더라도 수용할 수 없으나, 인간은 도를 다하고 선교(善敎)를 수용할 수 있는 이유는 인간의 본성만이 선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인간과 금수의 본성이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정약용은 인간도 인의예지를 상천이 부여한 것이 아닌데 건순·오상의 도덕성을 인·물이 똑같이 얻었다는 주희의 주장은 오류라고 비판하였다.
    『중용』 ‘천명지위성’장 주석에 나타난 왕부지 · 진사이 · 정약용의 인성물성론은 다음 세 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다.
    첫째, 세 학자는 주희가 성(性)과 도(道) 두 글자에 대하여 인물을 겸하여 말한 점을 부정하고, 성과 도는 인성(人性)과 인도(人道)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둘째, 세 학자는 성과 도에 대하여 인성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수도지교(修道之敎)’에 있어서 인간의 도덕적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세 학자는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에 대한 주희의 기본 입장인 ‘이동기이(理同氣異)’, 즉 리의 보편성을 인정하지 않고, 인물성이(人物性異)의 특수성에 중점을 두었다.
    『맹자』 ‘생지위성(生之謂性)’장 주석에 나타난 왕부지 · 진사이 · 정약용의 인성물성론은 다음과 같이 집약된다.
    왕부지는 인성과 물성의 차이를 사람은 기가 선하므로 그 성도 선한 존재이고, 동물은 기가 불선하므로 그 성도 불선하여 도덕성이 결여된 존재로 보았다.
    진사이는 인성과 물성의 차이를 기질에 나아가 파악하여 인간의 기질과 개 · 소의 기질이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진사이는 인간의 도덕적 자질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의 기질이 다르다고 보았다.
    정약용은 도의의 성과 기질의 성을 합한 것이 사람의 본연의 성이고, 기질의 성만 있는 것이 금수의 본연의 성이라고 주장하였다.
    주희는 리와 기라는 두 개의 개념으로 인간과 물성을 구분하지 않고 통일적으로 설명하는 이론 체계를 수립하였다. 하지만 왕부지 · 진사이 · 정약용의 공통된 특징은 인간과 물성을 분리하여 인간에게만 도덕성이 있고, 동물은 도덕의 세계에서 제외했다는 점이다. 특히 왕부지와 정약용은 인간만이 금수·초목을 다스리고 이용하는 대상으로 재규정하였다.
    17〜18세기에 세 학자의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에 대한 관점이 각기 다른 이유는 주희의 기본 입장인 ‘이동기이’에 근거한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에 대한 보완과 비판이라는 한 · 중 · 일의 동아시아 유학사적 시각에서 제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세 학자는 근본적으로 인성과 물성을 같이 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히고, 인간만이 영묘하고 선하다는 관점에서 ‘인물성이(人物性異)’론을 각기 정립하여 재구성한 작업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chapter titled Tianming-Zhi-Wei-Xing in Zhongyong and Sheng-Zhi-Wei-Xing in Mencius. The primary aim was to discover the ideological features of Wang Fuzhi, Ito Jinsai, and Jeong Yak-yong by examining the common grounds and differences that the identified problems exhibit in the In-mul-seong-dong theory.
    In terms of Rénwù xìng yì (人物性異, Character heterogeneity), found in the Tianming-Zhi-Wei-Xing chapter in Zhongyong, we observed differences in Fuzhi, Jinsai, and Jeong’s interpretations. Zhu Xi argued that the morality of Jiàn shùn wǔcháng (健順五常) can be found in all animals, just like in human beings. On this, Fuzhi thought and emphasized that humanhood and animalhood are different. Further, animalhood implies perceiving animals from a human being’s perspective instead of considering the innate qualities of animals themselves per se. Jinsai claimed that dogs and chicken cannot wield Shan Dao (善道) and Shan Jiao (善敎) in spite of their acquisition of these qualities, whereas human beings could practice Dao (道) and make use of Shan Jiao (善敎) due to their good nature of Xing (性). Jeong criticised Zhu Xi for claiming that humans and animals acquired the virtues of Jiàn shùn wǔcháng (健順五常), even when human being’s Rényì lǐ zhì ( 仁義禮智) was not attributed by heaven.
    Both Fuzhi, Jinsai, and Jeong shared three common grounds in their understanding of Rénwù-Xìng-Yì. First, they rejected Zhu Xi’s combination of Sex and Dao with human beings and animals, but they argued that Sex and Dao are just rénxìng (人性) and réndào (人道). Second, as far as Xiūdào zhī jiào (修道之敎) is concerned,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ng human beings about morality since they limited the Xing and Dao to the category of rénxìng (人性). Third, they did not accept the universality of Lǐ (理) in Lǐ tóng qì yì (理同氣異), which is central to Zhu Xi’s understanding of Rénwù xìng yì (人物性異). However, they emphasized the distinctiveness of Rénwù xìng yì. In the chapter Sheng-Zhi-Wei-Xing in Mencius, Fuzhi saw that humanhood and animalhood are different in such a way that human beings possess good qì (氣), and hence, their Xing (性) is of good nature. In contrast, animals possess vicious qì (氣), and hence, the nature of their Xing (性) is vicious, suggesting the privation of morality in their nature. In distinguishing Rénwù-Xìng-Yì, Jinsai suggested that the temperament of humans and that of dogs and cows are different. Jeong argued that human beings’ sex is the combination of sex in morality and temperament, whilst the innate sex of animals is sex in temperament alone.
    Zhu Xi established a theoretical system that uniformly explains and does not distinguish humans and nature with the two concepts of Li and Chi. However,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Wang Fuzhi, Ito Jinsai, and Jeong Yak-yong are that they separate humans and nature and exclude nature from their system of ethics. In particular, Wang Fuzhi and Jeong Yak-yong re-defined humans as the only beings to rule and utilize beasts and vegetation. The reason why the three scholars have different views on the “divergent theory on the nature of humans and things (人物性異論)”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can be seen as a standpoint form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nfucian studies in East Asia; it criticizes and supplements the “theory of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and animal nature (人物性同論)” based on Zhu Xi’s fundamental position of “one ruler over many things.” The three scholars clearly revealed that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 cannot be fundamentally alike, and their works should be reconstructed by establishing their respective “theories on the different natures of humans and things (人物性異)”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s as good-natured and marvelo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