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준법감시인과 준법지원인 형사처벌에 있어서의 가벌성 제한에 대한 범죄론적 검토 - 횡령·배임·사기죄 등 의무범죄에 있어서의 정범과 공범의 구별을 중심으로 - (Dogmatics on the Corporate crimes and the Criminal punishment regarding restriction of criminality in compliance system - Focusing on the distinction between principal offender and accomplice by the 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4.03
36P 미리보기
준법감시인과 준법지원인 형사처벌에 있어서의 가벌성 제한에 대한 범죄론적 검토 - 횡령·배임·사기죄 등 의무범죄에 있어서의 정범과 공범의 구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앙법학 / 26권 / 1호 / 157 ~ 192페이지
    · 저자명 : 안정빈

    초록

    최근 대기업은 자체적인 준법감시라고 하는 이른바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의 체계적 구축에 힘쓰고 있다. 필요적 기구인 준법감시인에 비해 임의적 기구인 준법지원인은 이미 형식과 법적 근거 및 의무의 내용이 다르다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이 점에서 본고에서 착안한 준법감시인과 준법지원인의 형사책임을 묻는 방식에 대한 이론적 구축은 가치있는 시도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 준법지원인은 임기가 통상 3년 정도 보장이 된다. 그리고 그 기간동안 회사의 업무를 모두 파악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준법지원인이 임원급의 직위 또는 연봉을 받지 않는 이상 회사의 위법행위에 대한 감시를 완벽히 하지 못한 데 대해서 형사처벌을 하는 것은 가혹하게 여겨질 수도 있다. 더구나 준법지원인 채용은 의무규정도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준법지원인의 형사처벌이 불가피하다 하더라도 준법지원인이 사용자가 아니고 사용자의 준법감시의무를 근로계약을 통해 위탁받아 행사한다면 그 형사처벌 범위는 제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준법지원인의 직급이 주로 대리에서 과장 혹은 차장인 반면, 준법감시인은 임기는 2년 이상이고, 이사/상무/전무/부사장 직급의 임원이 맡는 경우가 많다. 임원급이 준법감시인 업무를 맡게 된다면 그에 대한 형사적 책임을 지는 것 또한 과도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회사들은 준법감시인의 경우 사내 직원 중에 경력자를 선임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준법지원인은 따로 채용을 하면서 법무실장을 겸하게 하기도 한다. 준법감시인은 내부자로서 검증을 거친 사람들이 주로 부서변경의 형태로 근무하는 반면, 준법지원인은 외부 법률전문가가 신규입사하는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준법지원인 채용공고들을 보면 대체로 ‘대리 또는 과장’ 선에서 모집하거나 ‘과장 또는 차장’ 선에서 모집하는 경우가 많다. 준법지원인이 되면 상근직으로 3년 근무를 하게 되는데 과장급으로 상근직 3년을 근무하는 준법지원인에게 어느 정도의 형사책임을 부과하는 것이 적절할지에 대한 고민이 많을 것이다.
    준법감시인을 부진정부작위범으로 처벌할 수 있다는 논의는 국내 논문에서도 소개된 바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는 후속 논의된 바 없다. 본고에서는 의무의 강약설을 적용하여 준법감시인/준법지원인에게도 부진정부작위범의 정범과 공범의 구별을 하는 방향으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within corporations.
    The important thing will b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be criminally punished and the degree of compliance monitoring within the corpor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whether to punish the omission of a compliance officer as a regular offender or an aid offender for illegal acts in a corporation is a difficult issue because there are complex aspects in judging the act of execution under the criminal law.
    Above all, will there be a clue to the solu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offender as an issue of the compliance officer? It should be possible to reduce punishment for compliance officers as much as possible.
    Corporate criminal crimes related to companies i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embezzlement, breach of trust, and fraud.
    Since there are no criminal punishment precedents for compliance applicants in Korea so far, it is difficult to discuss precedents for specific corporate crimes.
    Therefore, criminal responsibility related to compliance applicants should be discussed, focusing on embezzlement, breach of trust, and fraud, which are the types of general corporate criminal crimes.
    The status of a compliance officer is regulated by financial-related laws, including the Capital Markets Act, and the status of a compliance officer is regulated by commercial law.
    Compliance applicants are closer to the status of legal supervisors than compliance monitors.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roles depending on the governing law,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ubtle differences in roles, this paper will discuss the status of poor guarantors of criminal compliance officers rather than strict distinctions between compliance officers and compliance officers.
    Corporate managers may be held responsible even if they do not have specific instructions for executives and employees. Since members of a corporate organization work with the possibility of dismissal, it is possible to transfer responsibility to the employer.
    Nevertheless, there is no precedent in Korea that recognizes criminal responsibility to corporate managers in relation to corporate compliance monitoring, so the awareness of criminal punishment, which is compliance support, is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recently enforced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corporate managers (CEOs) have been conducting corporate management activities defensively to avoid criminal liability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f corporate misconduct occurs frequently, criminal punishment, which is a compliance support, will emerge in earnest, just like criminal punishment for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