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해행위취소 소송에서 명의신탁 주식 처분에 따른 손해배상채권의 피보전권리성 등에 대한 쟁점 검토 ― 대법원 2019. 12. 13. 선고 2017다208294 판결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 (Review of issues related to the right to be preserved resulting from the disposal of stocks in title trust in litigation for the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 Focusing on main issues in the Korean 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1.12
38P 미리보기
사해행위취소 소송에서 명의신탁 주식 처분에 따른 손해배상채권의 피보전권리성 등에 대한 쟁점 검토 ― 대법원 2019. 12. 13. 선고 2017다208294 판결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1권 / 4호 / 163 ~ 200페이지
    · 저자명 : 최자유

    초록

    본 사안 판결은 명의신탁 된 주식을 명의수탁자가 유질 약정을 포함한 근질권 설정 계약을 체결하여 제3자에게 임의로 처분하였을 때 신탁자가 수탁자에 대하여 가지는 손해배상채권을 피보전권리로 수탁자가 제3자에게 부동산을 증여・양도・변경등기 한 계약을 사해행위로 취소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본 사안 판결은 ‘기초적 법률관계론’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있다. 피보전권리의 성립 이전 사해행위가 있었을지라도, 사해행위 당시 근질권 설정 계약으로 기초적 법률관계가 인정되고 근질권이 실행되어 명의신탁자가 주식 소유권을 상실하여 손해배상채권이 발생할 고도의 개연성이 있으며 위험이 현실화 되어 주식 반환이 이행불능이 되면 명의신탁자의 손해배상채권이 피보전권리로 인정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사안 판결은 주식의 명의신탁 시 소유권의 귀속관계를 검토하며 전통적인 판례 이론을 충실히 따라 신탁자는 대내적인 소유권을 가지며 수탁자는 대외적인 소유권을 가진다고 한다. 그리고 동일한 사실관계를 기초로 하는 다른 판결에서 인정된 사실관계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하여 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피보전권리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주식의 명의신탁 법리를 분석한다. 전통적인 명의신탁 이론에 따른 소유권의 대내외적 분열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개선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아울러 기초적 법률관계론을 중심으로 채권자취소권의 요건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현행 해석의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려 한다. 그리고 선행 판결이 인정한 사실관계와 동일한 사실관계를 기초로 하는 사건에서 선행 판결의 사실 인정을 어떻게 판단하는지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토대로 제도 개선 방향을 제언하려 한다.

    영어초록

    This case deals with a situation that when the title trustee voluntarily disposes of the stocks in the title trust to a third party based on a agreement of open-end pledge, including the forfeited pledge, whether the right to claim damages to the trustee could be used as a right to be preserved, and could revoke the agreement regarding transfer of real estate between the trustee and the third party as a fraudulent transfer.
    This case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e high probability theory in the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which has been repeatedly confirmed by the Supreme Court.
    In other words, even if there was a fradulent transfer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to be preserved, if the high probability of the occurrence of the fraudulent transfer and the basic legal relationship were recognized, and fraudulent transfer was realized at once, this claim for damages could be utilized as a right to be preserved.
    In addition, this annotated case examines how the ownership relationship is in the case of a title trust of stocks, and faithfully follows the traditional precedent theory related to title trusts, stating that the trustee has internal ownership and the trustee has external ownership. Moreover, this case deals with how the facts recognized in other case based on the same facts can be utilized.
    This study analyzes the facts of the annotated case and reviews the main issues of the case. First of all, this study discusses the title trust principle of stocks, which is premis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right to be preserved arises. After critically examin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division of stock ownership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theory,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improvements to the title trust principle. In addi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critically review the requirements of the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focusing on the high probability theory among the requirements for the occurrence of the right to be preserved, and to suggest problems in the current interpretation and alternatives. Moreover, this study discusses a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system based on a critical examination of how to deal with the recognition of the facts of a preceding judgment in a case based on the same facts as those recognized by other preceding judg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