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융투자상품 포괄주의 규율체계에 대한 입법적 보완에 관한 연구-2013년 개정자본시장법 등의 취지 및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Legislative Amendments to the Comprehensive Regulatory Framework on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under the FISCMA)

1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4.12
119P 미리보기
금융투자상품 포괄주의 규율체계에 대한 입법적 보완에 관한 연구-2013년 개정자본시장법 등의 취지 및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증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증권법연구 / 15권 / 3호 / 89 ~ 207페이지
    · 저자명 : 이한진

    초록

    우선, 자본시장법상 금융투자상품 포괄주의 규율체계의 도입 이후 시행과정에서 나타났던 쟁점을 금융투자상품 포괄주의 정책방향, 포괄적 금융투자상품 개념과 단계적 정의방식, 증권과 파생상품의 구분, 파생결합증권⋅투자계약증권 등 포괄적 증권 개념의 분야로 나누어 행정실무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평가하였다.
    금융투자상품 포괄주의 정책은 금융투자업자의 업무범위를 확대함과 동시에 투자자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추진되었고 이에 따라 발행공시 및 판매규제의 적용이 확대되는 등 적지 않은 성과가 있었으나, 민사법상의 유가증권 법정주의가 금융투자업자의 업무확대의 제도적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였던 점과 만기 1년 이상의 기업어음 발행의 증가로 이어졌던 사례가 있었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금융투자상품 포괄주의라는 금융정책을 설계함에 있어 투자자보호와 기업의 자금조달 활성화의 관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포괄적 금융투자상품의 개념과 단계적 정의방식은 일부 비판에도 불구하고 행정실무에서 어느 정도 정착이 되어 가고 있지만, 포괄주의 규율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 영국, 호주 등 해외 입법례와는 달리 개별 사안에서 구체적인 타당성을 기하기 위해 금융행정기관에 대하여 금융투자상품 개념의 해석⋅운용, 관련 규제 적용의 면제에 관한 재량권을 부여하는 외국의 보완적 제도가 함께 도입되지 않음에 따라 금융기관, 기업 등 수범자(受範者)의 예측가능성을 저해하고 행정실무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증권과 파생상품의 개념 구분과 관련하여, 개정전 자본시장법에서 추가지급의무라는 단일기준만을 제시함에 따라 다양한 해석⋅운용상의 어려움이 야기되었다는 것을 옵션 또는 워런트에 대한 사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규제 목적에 맞게 증권과 파생상품을 구분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추가지급의무라는 구분기준이 이러한 필요성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하였음을 설명하였다.
    증권 개념에도 포괄주의 규율체계를 관철하기 위해 도입된 파생결합증권⋅투자계약증권 등의 개념에 대해, 행정실무의 해석⋅운용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쟁점을 채무증권⋅지분증권 등 다른 증권 유형과의 법적용 관계, 파생결합증권⋅투자계약증권 등의 개념의 적용영역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파생결합증권의 경우, 다른 증권 유형과는 달리 그 발행 및 판매 등에 관하여 특유하게 적용되는 규제의 취지와 문언의 의미를 자세히 검토하였다. 투자계약증권 등의 경우에는 유통성이 없는 특성으로 인해 최근 새로운 법현상으로서 크라우드펀딩 등과의 관계가 문제되었음을 지적하였다.
    다음, 위와 같이 나타난 포괄주의 규율체계의 문제점에 대하여 행정실무의 해석⋅운용 차원을 넘어서 입법 차원에서 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던 2013년 개정자본시장법 및 후속 개정안 등의 주요 내용과 개정취지를 금융투자상품 개념의 조정, 증권과 파생상품의 구분기준 및 파생상품 개념의 조정, 최근 개정상법과의 관계에서 파생결합증권의 개념 및 관련 규제의 조정, 투자계약증권 등의 개념의 적용범위의 조정 및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새로운 규율 등의 분야로 나누어 소개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to evaluate issues resulted from the comprehensive regulatory framework on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under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 and Capital Market Act (FISCMA).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policy intent and the principles of comprehensive regulatory framework, the comprehensive legal definition of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the distinction between securities and derivatives, and the definition of derivatives combined securities and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The policy intent of the comprehensive regulatory framework under the FISCMA was expanding the business scope of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providers while strengthening investor protection simultaneously. However, the principal limit, which governs the issuance and transfer of securities inscribed in the statutory law restricted the business scope of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providers. Further, the introduction of comprehensive regulatory framework saw a little deterioration in investor protection due to the increased level of issuances in long-term commercial paper. In addition, accomadative policy options for the ease of corporate funding were not fully addressed in the enactment of the FISCMA, which will increasingly necessitate further discussion.
    Despite some criticism from the academic world, the comprehensive legal definition of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was rather well received in the government practice. However, the lack of exemptions, which were witnessed in the US, the UK, Australia, etc from certain clauses requiring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mprehensive legal definition increased regulatory uncertainties and burden on both the regulators and the regulated entities.
    The obligation for additional payments, which was the only criterion provided to distinguish derivatives from securities under the FISCMA, caused difficulties in the practical setting, particularly in the area of options and warrants. It was noted that the single criterion approach has been facing challenges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on clear distinction between securities and derivatives as the regulatory requirements on derivatives has been heighten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Various issues raised from derivatives combined securities and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were also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the comprehensive legal definition of securities under the FISCMA. A particular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issuance and sales of derivatives combined securities as separate regulations govern them with different policy intent. It was noted that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and the likes can cause further issues when combined with crowdfunding due to the lack of transferability.
    Finally, the contents and policy intent of the amendment to the FISCMA in 2013 along with the revised bills and its subordinate regulations, which aimed to clarify and supplement the comprehensive regulatory framework on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are detailed with referece to the changes in the definition of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and in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between securities and derivatives. Further, some issues arising from the amendments in the scope of the derivatives combined securities,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etc with reference to the amendment to Commercial Law in 2011 and the new legislation on crowdfunding, which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are also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증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