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법원의 차별시정조치 판결- 2014. 7. 3. 선고 2013 가합 2599 판결을 중심으로 - (Affirmative Action under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 Focused on 2013 GaHap 2599 Judgement Sentenced on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6.10
21P 미리보기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법원의 차별시정조치 판결- 2014. 7. 3. 선고 2013 가합 2599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이론실무연구 / 4권 / 2호 / 81 ~ 101페이지
    · 저자명 : 김종일

    초록

    2007년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하 ‘장애인차별금지법’이라 한다)”의 제정은 세계적 흐름에도 부합하는 중요하고 의미 있는 성과였으며 2008년 법률이 시행된 지 올해로 8년이 되었다. 장애관련 법령들이 장애인의 일반적 복지, 교육, 직업재활 및 취업지원 등과 같이 국가예산에 의해 좌우되는 복지적·시혜적 성격을 띠고 있는 데 비하여,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장애인에게 차별로부터의 보호 및 그 구제를 청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권리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우리 사회에 장애에 대한 인식을 의료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 전환시키는 기초를 마련한 법률이라 할 수 있다.
    장애인차별금지법 제48조 제2항에서는 장애인차별이 있는 경우에 장애인들이 그에 대해 실효적인 권리구제를 받도록 하기 위해 ‘법원은 피해자의 청구에 따라 차별적 행위의 중지, 임금 등 근로조건의 개선, 그 시정을 위한 적극적 조치 등을 판결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시행된 2008년부터 지금까지 법에 따른 시정조치판결보다는 손해배상, 합의, 화해권고, 조정으로 결론지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 판결은 비록 1심 판결이기는 하지만, 법원이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는 차별시정조치 판결을 적극적으로 내린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장애인 차별에 대한 피해 회복으로 금전배상과 함께 시정조치를 명한 판결이라는 점에서 장애인의 실질적인 권리 구제에 더욱 다가갔다고 평가할 수 있다본 논문은 2014. 7. 3. 선고 2013 가합 2599 차별구제 판결(장애인 채용 거부 사건에 대한 손해배상 및 시정조치 판결)을 통해 본 판결이 갖는 의미, 장애인차별금지법의 함의와 한계, 장애인차별시정제도의 활성화 등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hereinafter referred as to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enacted in 2007 was an important and significant achievement in line with global trends, and it has been eight years since it was enforced in 2008. While other regulations and roles for disabled persons such as welfare and dispensation are subject to a national budget like general welfare, education, occupational rehabilitation, employment support, etc.,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entails detailed rights that disabled persons can request their protection and relief from any discrimination. In this respect,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lays the foundation that changes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from the medical model to the social one in our society.
    Clause 2 of Article 4 of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s regulated that ‘the court can judge on affirmative action, etc. to suspend any discrimination and to improve or correct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a wage, etc. according to the claim of a victim’ for the effective relief of rights if any discrimination for disabled persons has occurred. However, the majority of them result in compensation, settlement, reconciliation, or arbitration instead of affirmative action under the act from 2008 enacted in line with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up until now.
    However, although this judgment is shown at the first trial, it is significant that the court applies affirmative action regulated in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n addition, it goes one step further in the fact that the actual relief of rights for disabled persons orders affirmative action rather than any monetary compensation as the recovery for any damages that occurs from disability discrimination.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meaning of the judgement,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the encouragement of affirmative action system, etc. through 2013 Gahap 2599 Judgement Sentenced on July 3rd, 2014 (judged to be the affirmative action for the case on disability employment that was rej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