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제형사재판소의 증거개시 제도에 관한 연구- 형사소송법상 ‘서류 등의 열람·등사’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vidence Disclosur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 Focusing on Its Implications for the “Inspection and Copying of Document” under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09
51P 미리보기
국제형사재판소의 증거개시 제도에 관한 연구- 형사소송법상 ‘서류 등의 열람·등사’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41호 / 593 ~ 643페이지
    · 저자명 : 홍진영

    초록

    우리 형사소송법은 2007년 형사소송법 제266조의3에 ‘서류 등의 열람·등사’에 관한 조항을 마련함으로써 이른바 ‘증거개시’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위 조항이 시행된 지 10년째가 되는 현재에 이르러서도 위 조항에 따른 증거개시의 절차와 증거개시의 범위에 대하여 명확한 기준이 정립되었다고 보기는 어렵고, 오히려 현행 조항의 미비점에 대하여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형사재판소의 증거개시 절차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ICC의 재판절차는 영미법계와 대륙법계 출신의 법률가들이 모여 치열한 토론을 벌인 끝에 각국의 법체계, 법전통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감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마련된 절차로서 어느 나라의 형사재판에나 적용되는 보편적 이념을 담고 있고, 이는 증거개시 절차에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ICC의 증거개시 절차를 검토함으로써,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인권 기준에 비추어 우리 증거개시 제도의 미흡하거나 보다 개선될 수 있는 점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ICC가 전면적 전자소송시스템을 채택함으로써 증거개시 제도를 보다 원활하고 성공적으로 운용하고 있다는 점은 형사전자소송의 도입과 관련한 국내의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이 글에서는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규정 등 관련 규정과 각 재판부의 판례를 중심으로 하여, 국제형사재판소에서의 증거개시의 주체, 시기, 대상, 절차에 대하여 논하였다. 특히 이 글에서는 ① 소추관은 피고인의 신청이 없더라도 관련 규정에 따라 적극적으로 유죄증거와 무죄증거에 대하여 증거개시를 할 의무를 부담하고 이러한 의무는 소추관의 객관의무와 긴밀히 결부되어 있다는 점, ② 소추관이 증거개시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피고인의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할 경우 재판부는 공판절차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는 점, ③ 증거개시의 제한 사유의 존부와 제한 방법에 대한 판단 권한은 공정한 재판의 주재자인 재판부에게 전속한다는 점, ④ 사무국에서 운영하는 전자소송시스템이 증거개시 시스템의 운영을 원활하게 촉진한다는 점 등에 주목하였고, 우리 형사소송법상 증거개시 제도의 해석과 입법적 개선에 참고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In 2007, the evidence disclosure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by establishing the provision related to the “inspection and copying of documents, etc.”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see Article 266-3). However, even after 10 years since the enactment of said provision, it cannot be said that a clear standard is in place with respect to the procedure and scope of evidence disclosure, and there are rather voices increasingly urging a revamp of the provision to eliminate any loopholes.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of the evidence disclosur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holds significance. Inasmuch as the procedural framework, including the evidence disclosure system, of the ICC proceedings was adopted following intense discussions among the legal profession from countries with common and civil law systems, it entails a universal concept of the right to fair trial that is applicable to the criminal procedure of any country regardless of the different legal systems and various legal traditions by country. That said, reviewing the ICC’s evidence disclosure system can shed some light on aspects of the disclosure system of Korean courts that require improvement in light of the universal human rights standards.
    Addi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CC’s effective operation of the evidence disclosure system is attributed to having adopted the electronic filing system for all cases, a fact that will strengthen the case for introducing said system for criminal cases in Korea.
    Based on these premises, this paper discusses the ICC’s procedure for disclosure, including subject matter and period, centering on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and other relevant statutes as well as judicial precedents. In particular, the paper emphasizes that: (i) a prosecutor assumes the duty of disclosure of incriminating and exonerating evidence, regardless of whether a defendant requests disclosur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a prosecutor’s objective obligation to establish the truth; (ii) a court has the power to order stay of proceedings in cases where a prosecutor’s non-performance of such duty violated an accused’s right to fair trial; (iii) a court has sole discre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justifiable cause for non-disclosure; and (iv) the electronic filing system actuates the evidence disclosure system to run smoothly. These findings can be referenced in future legislative improvements and statutory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evidence disclosure system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