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 보험계약법상 보험자 정보제공의무 등의 내용 분석과 그 도입가능성에 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insurer's duty to provide information etc in insurance contract law in Germany -Assum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these duties to Korea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03
43P 미리보기
독일 보험계약법상 보험자 정보제공의무 등의 내용 분석과 그 도입가능성에 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고려법학 / 84호 / 147 ~ 189페이지
    · 저자명 : 박세민

    초록

    독일은 2008년 보험계약법을 개정하면서 정보제공의무, 상담의무, 안내(지시)의무 및 서면화 의무 등을 신설 또는 개정하였다. 또한 정보제공의 시기와 관련하여 기존의 증권모델에서 청약모델로 변경하였다. 이러한 개정작업은 보험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보험소비자 보호의 문제는 보험법 현대화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보험소비자 보호는 보험업계 뿐만 아니라 보험감독당국의 주요 현안 문제가 되고 있다. 독일 보험계약법상의 정보제공의무 등을 우리나라에 도입하는 것을 염두해 두고 이들 정보제공의무나 상담의무 등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독일 보험계약법에서 정보제공의무 등을 명문화함으로써 보험소비자 보호의 문제를 부각시키고 이를 법적 의무화하는 것에 대한 장점이 분명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들 의무 등은 본질적으로 볼 때 법적 의무로 규정되지 않더라도 보험계약의 최대선의의 원칙에 의해 이론적으로나 해석상 모두 인정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독일 보험계약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정보제공의무나 상담의무, 안내(지시)의무 및 서면화 의무는 그 내용의 기초가 보험계약의 최대선의성에 기초를 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오히려 이들 의무를 법적의무로 함으로써 보험자에게 지나치게 광범위하고 보험계약 체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까지도 반드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 형식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보험자의 경영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사업비의 불가피한 증가를 가져와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결국 보험소비자에게 불이익한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번에 보험법 개정안이 우리 국회를 통과하면서 최대선의의 원칙 조문이 심의과정에서 누락된 것은 매우 아쉽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보험계약의 최대선의 원칙 조항은 재판규범으로서의 역할도 하지만 또한 행위규범 및 해석의 판단기준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대선의의 원칙을 통해 독일식의 정보제공의무 등을 어렵지 않게 인정할 수 있고 그 의무의 적용 범위도 합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는 현행 약관설명의무 제도에 대한 개정작업을 통해 이를 설명의무로 확대하고 합리적인 범위에서 보험자의 정보제공의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담의무나 안내의무 등은 최대선의의 원칙에 의해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독일의 보험자 정보제공의무제도의 도입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2008, the insurance contract law in Germany was revised, setting up the insurer's duty to provide information, duty of consultation, duty of guidance and the duty to put in writing in relation to the insurance contract. In addition, the policy model was replaced by the subscription model as regarding the time of offering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amendment was to protect the insurance consumer, which has become the main issue of modernization of insurance contract law in each country. Of course, in Korea, this issue also has been the main target for insurance industry and insurance supervisory authorities. Some articles have already been released about the insurer's duty to provide information and duty of consultation etc in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these duties to Korean insurance laws. There might have some advantages in making the insurer's duty to provide information and duty of consultation etc the legal duties by explicitly stipulating these duties in the insurance contract law like Germany, highlighting the issue of protection of insurance consumers. However, these duties can be theoretically recognized and accepted by the principle of utmost good faith in insurance contract in itself, without effort to make legal duties. It is because that the insurer's duty to provide information, duty of consultation, duty of guidance and duty to put in writing are undisputedly based on the principle of uberrima fides in insurance contract. It may be thought that making them legal duties could put more burden on the insurer by too much expanding the range of these duties. Inevitably, the insurer is required to provide information which does not directly influence in making insurance contract. This insurer's heavy burden in business management might lead the increase of cost of insurance product - insurance premium. This situation may eventually cause disadvantage to the insurance consumer. It is a shame that the article dealing with the principle of utmost good faith in the revised bill of Korean insurance contract law has been eliminated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by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is erased article - principle of utmost good faith- may be used for conduct norms and a crucial criteria for interpretation of relevant legislation. With this principle of utmost good faith, the insurer's duty to provide information etc prescribed in the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 can be easily recogniz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Also, the range of those duties can be reasonably construed based on this principle. In Korea, the article of the insurer's duty to explain clause of insurance needs to be amended as quickly as possible. From this amendment, the insurer's duty to explain clause of insurance should be expanded to the duty to explain information. With this revised insurer's duty to explain information and with the principle of utmost good faith, the function of those duties in the German insurance contact law can be reasonably carried out in Korea. In conclusion, there is no hurry about introduction of those duties prescribed in the revised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 to Korean insurance contract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