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A Survey Research on the Perception and Needs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bout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as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06
22P 미리보기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3권 / 11호 / 431 ~ 452페이지
    · 저자명 : 강가연, 정주연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등 음악교사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에 관한 인식과 교육과정 요구도를 조사하여 현직 중등 음악교사재교육을 위한 학위과정 재구성 방향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전국의 현직 중등 음악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현행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과필요성, 요구하는 교육과정을 알아보았다. 더불어,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의 통계 분석 및 자율 기술 문답 결과에 따른 구체적인 원인과 인식을 현직교사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하여 2인의 교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과 현직 중등 음악교사들은 현행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의 기능을 현직교사 재교육 기관보다는 예비 교원 양성기관으로 특성화하여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이는 현재 교육대학원의 기능이 최초 설립 목적에서 멀어져 있음을 나타내며,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기능을 보다 강화할 필요성을 시사는 바이다. 나아가, 중등 음악교사들은 현장 연계성이 높은 교사 재교육과정을 기대하였으며, 이는 주로 교수법 개발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첫째,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은 장기 교육이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현직교사 재교육 교육과정을 구성하여야 한다. 더불어,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필요에 따라 자율적인 교육과정 결정과 이수 과정을 거칠 수 있는 이수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와 최신 교육과정의 철학을 선도적으로 이해하여 교사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 현직교사 재교육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로써 실제 교육 현장에 알맞게 응용하게 되기까지 교사가 전문성 발달에 책무성을 가지도록 양질의 교수학습 방법및 자료 개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in-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regarding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as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 and discuss about the curriculum improvement of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for in-service training.
    Methods A survey of 139 secondary music teachers nationwide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the current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as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 and its curriculum. In addition, interviews with two music teachers were conducted to find more specific causes and perceptions of the survey results and discuss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instit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service teachers.
    Results In-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tended to characterize the functions of the current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major as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rather than for in-servicet teacher training. This indicates that the functions of the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are far from the purpose of initial establishment, and suggests the need to further strengthen the functions to enhance the expertise of in-service music teachers. Furthermore, secondary music teachers expected curriculum with high field connectivity, which was main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Conclusions First, the music education major of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develop curriculum for in-service training, focusing on the contents that require long-term education. In addition, a completion system that teachers have more autonomous curriculum decision should be provided as well as comple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needs of in-service teachers. Second, curriculum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should be developed to help teachers understand the rapidly changing needs of society and the latest philosophy and theory. In this way, research on developing high-quality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should be conducted; so that teachers can be far more accountabl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mproving their classroo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