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론학 혐오 연구의 메타 분석: 2010년대 국내 신문방송학 등재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Hate Speech in Communication Studies: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Selected in the KCI(Korean Citation Index) in the 2010s)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0.03
58P 미리보기
언론학 혐오 연구의 메타 분석: 2010년대 국내 신문방송학 등재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35권 / 1호 / 45 ~ 102페이지
    · 저자명 : 홍성일, 김민정, 김수아, 이동후

    초록

    2010년대 한국사회에서 혐오표현이 본격적으로 부상하며 언론학 또한 혐오 문제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왔다. 본 논문은 언론학 분과에서 연구된 지난 10년의 혐오 관련 논문을 메타 분석하여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혐오가 문제시되었고 현재에이르렀는지를 입체적으로 살펴볼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분석논문은 한국연구재단에등재된 사회과학 신문방송학 분야 학술지로 한정되었고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통해 혐오표현, 표현의 자유, 여성혐오가 주된 연구키워드였으며 여성 연구자의 학술 개입이 두드려졌음을 확인하였다. 정성적 분석은지난 10년 동안 여성혐오뿐만 아니라 레드콤플렉스, 지역, 이주 노동자와 외국인, 정치혐오와 같이 사실상 전방위적으로 한국 사회의 혐오 대상이 폭증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는 신자유주의가 초래한 사회 갈등 심화와 더불어 모바일 미디어로의 매체 전경 변화, 언론과 미디어 플랫폼의 취약한 자율규제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탓이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언론학은 표현의 자유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2010년대후반에는 사회적 소수자의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혐오표현 규제 논의를 펼쳐내기 시작하였다.

    영어초록

    As hate speech has become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of Korea in the 2010s, it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from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cholars. Meta-analyzing hate-related communication researches over the last decade, this paper comprehensively discusses how hate speech has became a big problem and how it has reached the current situation. The scope of analysis includes KCI journals in the field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researches showed that these studies were largely conducted by female researchers who were interested in research topic such as hate speech, freedom of expression, and misogyny. The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es indicated that the targets of hatred had dramatically increased and expanded in all directions such as migrant workers to the left, specific regions, political orientation and females. Despite of the complicated reasons, it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ocial conflicts deeply caused by neoliberalism, the evolution of media landscape affected by digital technology, the lack of self-regulation in newly developed media platforms. In this situation, media scholars evaluated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began to discuss the diverse measures to self-regulate hate speech in order to protect the freedom of expression for social minor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