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술거부권 행사 피고인의 양형 가중 문제 고찰 - 마약, 강력범죄 등 중한 범죄 유형을 중심으로 - (Remarks on sentencing guidelines for the defendant who has the right to remain silen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4.08
32P 미리보기
진술거부권 행사 피고인의 양형 가중 문제 고찰 - 마약, 강력범죄 등 중한 범죄 유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정책 / 26권 / 2호 / 223 ~ 254페이지
    · 저자명 : 조인현

    초록

    오늘날 범죄적 특성의 하나로 흉악화와 인명 경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마약범죄, 강력범죄는 사회적으로 커다란 충격과 위협을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범죄들을 중심으로 묵비 현상이 문제화되고 있다. 이러한 묵비 현상은 공범 연루나 그 여죄 여부를 밝혀내려는 수사기관의 입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묵비권은 진술거부권이라고도 한다. 진술거부권의 보장은 고문의 금지로부터 가능하게 되었지만, 진술거부권이 어느 정도까지 보장될 것인가에 대하여 엄정한 판단 기준의 정립이 요청된다. 이 때문에 진술거부권의 바른 해석을 위하여 법원의 역할이 크다. 진술거부자 양형 가중 근거에 대해 판례의 태도와 학계의 견해가 일치되어 있지 아니하다.
    법원 자체에서도 심급별로 진술거부 현상에 대한 형사책임 문제의 평가가 혼선을 겪고 있다. 즉 1심 법원은 마약, 강력범죄인의 진술거부가 양형 가중 요인으로서 긍정적이다. 하지만, 항소심은 명백한 증거 없이 진술거부자를 양형 가중의 대상으로 평가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피고인이 유죄를 입증할 만한 명백한 증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술을 거부하여 실체적 진실을 오도하려고 시도한다면 양형에 참작될 수 있다. 즉 진술 거부가 진실의 발견을 숨기거나 법원을 오도하려는 시도에 기인한 경우에는 가중적 양형요소가 될 수 있다. 영국에는 진술거부 현상을 통제하기 위하여 입법적 해결 방안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마약, 강력범죄인의 진술거부 현상은 그 자체가 범죄적 징후라기 보다는 인간 본능으로부터 발생하는 행위자 내부의 심리적 행동의 표현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양형 판단 단계에서 사회적 낙인의 부정적 효과 역시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진술거부권을 행사하는 마약, 강력범죄 피고인에게 적절한 양형 기준이 요청된다.

    영어초록

    The right to remain silent follows from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role of defense system. The Miranda warning acknowledged the common-law right to remain silent. The right to remain silent was regulated in the Fifth Amend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ut it is open to the court to draw appropriate inferences from the Criminal Justice and Public Order Act 1994(CJPOA) in England. It might be stressed that the CJPOA has not abolished the right to remain silent in the commom-law. It would be better to think about the guidance of estimating sentencing factor for the defendant who has the right to remain silentNowadays the court has a dilemma for the defendants who have exercised the right to remain silent. At this situation for the most important thing, it needs criteria of sentencing guidelines in the korean jury trial. We have to pay close attention to allow the visual record to be introduced as evidence in trial, even in the case that we ask the prosecution or police to record the investigation procedure to guarantee the transparency of that procedure.
    However, in sentencing stage, the court could draw adverse inferences from the defendant who is apparently guilty in retrospective of the objective evidence. Labeling and Criminal Care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sistent criminal behaviours. Thus it must be appropriate criminal policy for the application of sentencing factors to resolve labeling against the defendants at the transient period of the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