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보저장매체의 압수수색절차에서 피압수자 등의 협력의무를 둘러싼 법적 쟁점 (Legal Issues Surrounding the Duty to Cooperate of the Person Subject to Seizure in th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Storage Medi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6.12
44P 미리보기
정보저장매체의 압수수색절차에서 피압수자 등의 협력의무를 둘러싼 법적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38호 / 621 ~ 664페이지
    · 저자명 : 조광훈

    초록

    정보저장매체의 압수수색절차에서 피압수자(피처분자) 등의 협력의무는 첨단 정보화 시대에서 효율적인 실체적 진실발견과 피압수자 등의 기본권과 인권보장을 위하여 그 필요성이 요구된다. 특히 전자정보의 특성(매체독립성·비가시성·비가독성·무체성·대량성·전문성·네트워크성·휘발성·변조용이성)과 실체적 진실발견, 적법절차의 준수를 위한 요청에 기인하기도 한다. 하지만 협력의무가 무한정 요청되는 것은 아니다. 협력의무가 발생하는 시기와 종기는 압수수색의 개시와 종료가 된다. 협력의무의 발생장소는 압수수색영장이 집행되는 현장뿐만 아니라 서버로 연결되어 있는 정보저장매체를 통제하고 관리·운영하고 있는 다른 현장의 관계자들도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협력의무의 수범자는 피압수자(피처분자)와 해당사건과 관련성이 있는 정보저장매체와 이와 관련한 기계설비 등을 다루는 제3자(서버운영자, 실무자, 중간관리자, 책임자 등)가 된다고 보아야 한다.
    협력의무의 구체적인 범위로는 압수수색장소에서 암호해제·복호화작업 ·탐색·선별·복제·출력 작업을 비롯한 정보저장매체의 세부적인 조작 등이 될 수 있다. 부득이하게 정보저장매체가 외부로 반출되었다면 원본매체의 구동에 필요한 암호와 비밀번호 제공 등과 같은 협력의무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협력의무는 비례의 원칙에서 벗어나 피의자(피처분자) 등의 방어권과 기본권을 심하게 제약하지 말아야 하는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보전명령의 도입과 형사소송법 제219조의 준용 조항의 정비가 필요하고 제106조 제3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한 사실상의 협력의무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정보저장매체의 압수수색절차에서 피압수자(피처분자) 등의 기본권과 실체적 진실발견을 동시에 고려하여 협력의무를 입법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duty of a person subject to seizure/disposition to cooperate in the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storage media is essential for the sake of the efficient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in advanced information era, as well as the guarantee of fundamental civil and human rights of the person subject to seizure. The significance of the duty also arises from the nature of electronic information (e.g., independence of media, invisibility, illegibility, intangibility, mass volume, technicality, networked feature, volatility, and alterability), as well as the need to discover substantive truth and comply with due process of law. However, the duty to cooperate is not unlimited. The temporal point of start and finish of the duty is the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search and seizure. The place from which the duty arises is not confined to the personnel on the site of execution of the warrant on search and seizure, but reaches the personnel on those other sites who control, manage, and operate the digital storage media connected by server. The obligor is the person subject to seizure/disposition and those third parties who operate the digital storage media pertinent to a given case and relevant mechanical equipment (e.g., server operator, staffers, mid-level manager, and the person in charge).
    The scope of the duty encompasses specific manipulations of digital storage media at the place of search and seizure, ranging from decryption and decoding, to search, selection, duplication, and to printing out. In the unfortunate event the digital storage media leaked, the duty of cooperation should be deemed to include the supply of password necessary to operate the original media. The duty is limited by the obligation not to severely constrain the right of defense and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suspect (person subject to disposition) beyond the bounds set by the proportionality doctrine. It would be necessary to introduce the order for provisional remedy, and revise those provisions applicable mutatis mutandis under Article 219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Meanwhile, the likelihood of de facto duty to cooperate may be enhanc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Article 106(3) of the said Act. Ultimately, in legislating on the duty to cooperate in search and seizure of digital storage media, account should be taken simultaneously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rson subject to seizure/disposition and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