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사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가사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안” 분석 (Legal Status of Domestic Workers and Analysis of Bills of Domestic Workers Protection Act)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8.06
37P 미리보기
가사근로자의 법적 지위와 “가사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안”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18권 / 2호 / 223 ~ 259페이지
    · 저자명 : 조성혜

    초록

    가사근로자는 노동법 및 사회보장법의 적용을 받지 못해 근로자임에도 불구하고 계속 보호의 사각지대에 머무르고 있다. 그 결과 가사종사자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년 여성들은 대부분 서면의 근로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4대보험 가입의무로부터도 배제된 채 저임금과 열악한 근로조건에 노출되어 있다. 가사근로자 보호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이미 오래 전부터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아직 입법으로 결실을 맺지 못한 상태이다.
    가사근로자의 보호는 간단히 생각하면 근로기준법을 비롯한 노동법 및 사회보장법 등에서 가사사용인 또는 가구 내 고용활동에 대한 적용 배제 규정을 삭제하면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근로기준법에 의한 해결방안의 경우 가사근로자에 대한 특례 조항을 신설한다 해도 결국 가사근로의 비공식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차선책으로 가사근로서비스를 파견법의 파견대상업무로 추가해 제3자간 계약으로 규율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파견법에 의한 해결방안은 2년의 계약기간을 초과한 경우 사용사업주에 해당하는 이용자가 가사근로자를 직접고용해야 한다는 기이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점에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가사근로자보호를 위한 정부안와 서형수 의원안, 이정미 의원안이 모두 가사근로자, 가사서비스 제공기관, 가사서비스 이용자의 3자관계를 통한 보호방안으로 귀결된 것이라고 본다. 정부안과 양 의원안은 공통적으로 가사근로자가 가사서비스 제공기관과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가사서비스 이용자는 제공기관과 가사서비스 이용계약을 체결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가사근로자가 여타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노동법 및 사회보장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는 이 법안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가사근로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가사근로자법이 간접고용방식을 취함으로써 가사근로자가 또다른 비정규직으로 전락하고 가사근로의 비용이 상승할 것 아니냐는 의문이 일 수도 있다. 나아가 가사근로법이 시행된 후에도 직접고용방식에 의한 가사근로가 그대로 존속된다면(현실적으로 이러한 방식을 규제할 수도 없다) 자칫 옥상옥의 결과를 가져오는 것 아닌가 라는 의구심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90% 이상의 가사근로가 비공식노동으로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현실을 고려할 때 3자간 고용에 의한 가사근로자법이 그나마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보호로부터 소외되었던 가사근로자를 양지로 끌어들일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방안이라고 본다. 이용자도 인증된 제공기관에 의해 가사근로자를 제공받을 경우 근로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어 안심이 되고, 근로자 역시 종속적 관계에 기반한 직접고용에서 흔히 발생하는 인권침해나 차별적 처우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고, 제공기관 역시 공식적으로 인증을 받아 정부의 지원 하에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가사근로자법이 현실에서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직접고용된 가사근로자들의 보호방안, 이들과 3자관계로 고용된 근로자들과의 차별 금지, 이용자의 책임 등의 문제들이 함께 해결되어야만 할 것이다.

    영어초록

    A domestic worker is a person who works within the employer’s private household. Domestic workers work often without clear terms of employment. They may work on full-time or part-time basis; may be employed by a single household or by multiple employers; may be residing in the household of the employer (live-in worker) or may be living in his or her own residence (live-out). The domestic work industry is currently dominated throughout the nation by women.
    At present, domestic workers often face very low wages, excessively long hours, have no guaranteed weekly day of rest. Remuneration for domestic workers tends to be among the lowest in the labor market.
    Exploitation of domestic workers can partly be attributed to exclusion from the labor and employment legislation. In Korea domestic workers are generally excluded from many of the legal protections afforded to other classes of worker, including the provisions of the Labor Standard Act and Minimum Wage Act.
    It was argued that there were reasons for the exclusion domestic workers from the employment legislation: how can conditions be monitored if labor inspectors are prohibited from entering the private household? How can employers afford to pay domestic workers the minimum wage, let alone social security benefits? While the domestic work industry was once believed to be an industry that belonged to a past type of society and did not belong in a modern world, trends are showing that there are several specific causes that are credited to continuing the cycle of the demand for domestic work. One of these causes is that with more women taking up full-time jobs, a dually employed household with children places a heavy burden on parents.
    Increasingly domestic workers associations and government are taking measures to make labor and social protections a reality for domestic workers.
    Recently Government and members of the Parliament have taken different legislative initiatives with drawing up the Bills of Domestic Workers Act. That 3 Bills are specially designed to meet the working condition of the domestic workers including the registration of service provider, domestic workers and employers. The purpose of those Bills are to provide for regulation of work of domestic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to provide social security to them. The Bills put domestic workers on the same level as other employees in many respects, such as wages and working time.
    This article seeks to review the current issues on the domestic workers and the several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them in Korea. Further it introduces and compares the contents of 3 Bills of Domestic Workers Act with problems of each individual provi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