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법적 고찰 (Study of Unfair Trading in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Virtual Asset User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3.12
36P 미리보기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증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증권법연구 / 24권 / 3호 / 91 ~ 126페이지
    · 저자명 : 한서희

    초록

    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정금융정보법’)에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제가 도입되었고 이로써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2024. 7. 19.부터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및 불공정거래행위 금지를 규정하고 있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될 예정이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의 불공정거래행위 규제체계는 자본시장법상의 규제체계와 유사하게 만들어졌다. 그런데 가상자산의 경우 발행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내재가치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서 자본시장과 차이점이 있다. 또한 가상자산시장의 경우 주식시장과는 다른 특성 즉, 국내에 여러 개의 가상자산시장이 존재한다는 점,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이 해외의 가상자산거래소에서도 거래된다는 점 등의 특수한 사정이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해외 가상자산 불공정거래행위 규제를 살펴본다. 우선, 미국에서는 가상자산에 대하여 폭넓게 증권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가상자산을 대상으로 하는 시세조종 및 부정거래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나 가상자산의 발행자를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에 대한 규제는 도입하지 않고 있다. 유럽연합(EU)는 암호자산시장에 관한 규칙(Markets In Crypto Asset Regulation, 이하 ‘MICAR’)을 통해 불공정거래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 각국에서 제도화가 진행 중이기는 하나 가상자산시장과 가상자산산업 전반에 대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기준이나 규율체계는 부재한 상황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제10조에서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고 있고,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 시세조종행위, 부정거래행위, 자기발행 가상자산 거래 금지 및 입출금 차단 금지 등을 규정하고 있다.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 및 시세조종행위, 그리고 부정거래행위의 경우 기본적으로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행위 금지규정과 매우 유사하게 제정되었다. 그런데 가상자산시장에서 발행인의 범위를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 내부정보의 범위를 정하기 어렵다는 점, 부정거래행위에서의 중요사항의 범위를 확정하기 어렵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법 적용상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향후 2단계 입법이 될 경우에는 현재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의 규제체계에 더하여 불공정거래행위와 관련된 시장 범위의 확정 및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에서의 중요정보 범위의 명확화, 시세조종행위에서의 ‘시세’에 대한 정의규정 추가, 부정거래행위에서의 ‘중요사항’의 명확화 등이 필요해 보인다. 그리고 불공정거래행위 규제체계와 함께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발행규제체계의 도입 역시 필요할 것이다. 나아가 가상자산시장의 경우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므로 탈중앙화거래소나 해외 시장에서의 거래를 규제할 필요성도 분명 존재한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해외 시장에서의 불공정거래행위가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해외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Act on the Reporting and Use of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the “Specified Financial Information Act”) marked the beginning of virtual asset regulation by introducing a reporting system for virtual asset operators, and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Virtual Asset Users (the “Virtual Asset User Protection Act”), which provides for the protection of virtual asset users and prohibits unfair trade practices, is scheduled to take effect on July 19, 2024. The unfair trade practice regulation system in this act is similar to the regulatory system under the Capital Market Act.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pital market and the virtual asset market is that the issuer of a virtual asset may not be identified and it is difficult to measure its intrinsic value. In addition, the virtual asset marke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stock market, such as the existence of multiple virtual asset markets in Korea and the fact that virtual assets traded on domestic virtual asset exchanges are also traded on overseas virtual asset exchanges. It needs to take a look at the regulation of unfair trading in virtual assets overseas. First of all, the United States applies securities regulations to virtual assets. While Japan prohibits market manipulation and unfair trading for virtual assets, it does not regulate the use of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issuer of virtual assets. The European Union (EU) prohibits unfair trading through the Markets In Crypto Asset Regulation (MICAR). Despite these institutionalization efforts around the world, there is still no internationally agreed upon standard or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virtual asset market and the virtual asset industry as a whole. On the other hand, in Korea, Article 10 of the Virtual Asset User Protection Act regulates unfair trading, including the use of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manipulation of market prices, unfair trading, prohibition of trading in self-issued virtual assets, and blocking of deposits and withdrawals. In the case of using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market manipulation, and unfair trade practices, the regulations are basically very similar to the regulations prohibiting unfair trading under the Capital Market Act. However, considering the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scope of issuers in the virtual asset market,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scope of inside information, and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scope of important matters in unfair trading there are aspects that are expected to be difficult to apply the law. Therefore, in the case of future phase 2 legislation, in addition to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of the Virtual Asset User Protection Act,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scope of the market related to unfair trade practices, clarify the scope of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act of using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add a definition of 'market price' in the act of price manipulation, and clarify 'important matters' in unfair trading. It is also necessary to introduce an issuance regulation system that can work in conjunction with the unfair trading regulation system. In addition, since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 domestic market from the overseas market in the case of the virtual asset market, there is a clear need to regulate trading on decentralized exchanges and overseas markets. However, in order to do so, it will be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the impact of unfair trading in overseas markets on the domestic market and to establish a monitoring system for unfair traiding in overseas marke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증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