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의 사법제도에 관한 小考 — 특히 법관인사 등 사법행정을 중심으로 — (Kurzer Aufsatz über das Justizsystem Deutschlands — Mit Schwerpunkt auf Justizverwaltung wie Personalfrage der Richter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17.06
29P 미리보기
독일의 사법제도에 관한 小考 — 특히 법관인사 등 사법행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27권 / 2호 / 89 ~ 117페이지
    · 저자명 : 이종수

    초록

    헌법은 법관들로 구성된 법원에게 재판권(사법권)을 맡기면서 아울러 재판상 독립성을 보장하고 있다. 법원의 구성원인 법관의 인사는 법관의 인적 독립성, 더 나아가 재판상 독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다. 개별 법관도 명예심을 지닌 인간인 이상 향후 인사에 있어서 불이익을 당하는데도 독립해서 소신 있는 판결을 내릴 것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지금껏 판결 성향에 따른 법관 인사의 편향성 및 불공정성 문제가 법원 내ㆍ외부에서 줄곧 불거져왔다. 그렇기 때문에 현행처럼 대법원장 직속의 법원행정처가 법관인사를 전담하는 제도가 과연 사법권 독립의 필수적인 내용인지는 의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그간 사법부는 설령 독립적이었을지 몰라도 개별 법관들은 독립적이지 못했다. 그리고 유감스럽게도 정작 사법부 또한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적이지 못했다. 이러한 의문에 답을 구하기 위해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독일의 법관인사시스템을 다룬다.
    독일의 경우에 법관 인사를 포함하는 사법행정 전반을 행정부가 담당하는 가운데, 의회가 함께 참여하는 법관선출위원회를 중심으로 법관 인사가 이루어지고, 여기에 법관인사자문위원회 등 법관들의 대표기구가 의견표명 등으로 참여함으로써 인사 전횡이 방지되는 나름의 합리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즉 법관 인사와 관련해서 행정부, 의회 및 법관대표기구가 함께 협력적으로 참여하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법관 인사를 포함한 사법행정을 공행정(公行政)의 당연한 일부로 간주하기 때문에 우선 각 전문법원에 상응하는 소관 행정부처에서 이를 담당한다. 이어서 이들 행정부처에 대한 의회의 통제가 확보됨으로써 법관인사를 포함한 사법행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하려고 노력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영어초록

    Die koreanische Verfasssung überlässt den Gerichten die Rechtsprechend Gewalt und gewährleistet gleichzeitig die Unabhängingkeit der Richter. Die Personalfrage der Richter, aus denen das Gericht zusammengesetzt wird, ist eine wichtige Angelegenheit, denn sie beeinflusst die persönliche Unabhängigkeit der Richter und darüber hinaus die Unabhängigkeit der Rechtsprechung. Da die Richter auch vom Ehrgeiz nicht befreiten normalen Menschen sind, ist vom einzelnen Richter nicht immer zu erwarten, trotz der Gefahr der Benachteiligung bei der Beförderung unabhängig vom jeglichen äußerlichen Druck nach seiner Überzeugung das Urteil zu fällen. Bis jetzt war es immer wieder von der Ungerechtigkeit bei der Beförderung der Richter die Rede, wonach die Richter nach ihrer Neigung bei den Entscheidungen vor- oder nachteilig befördert werden sollen. Daraus ergibt sich die Frage, ob die alleinige Übernahme der Personalfrage der Richter von der direkt unter dem Vorsitzenden des Supreme Courts stehenden Justizverwaltungsbehörde für die Unabhängigkeit der Rechtsprechende Gewalt unausweichlich ist. Vor diesem Hintergrund kann es nicht von der Unabhängigkeit der einzelnen Richter die Rede sein, abgesehen von der Unabhängigkeit des ganzen Justiz-Apparats. Bedauerlicherweise konnte die Justiz auch nicht unabhängig von der politischen Gewalt sein. Um eine Antwort auf dieses Problem zu finden, wird in diesem Aufsatz ans deutschen Personalsystem für Richter vergleichsrechtlich herangegangen.
    In Deutschland ist die Regierung für die gesamte Justizverwaltung inklusiv Personalfrage der Richter zuständig. In dem Richterwahlausschuss, an dem sich die Abgeordneten beteiligen, wird über die Personalfrage der Richter entschieden, wobei sich repräsentitive Organe der Richter wie Präsidialrat in Form von einer Stellungnahme beteiligt, so dass die Willkür vorgebeugt werden kann. Anders gesagt ist in Deutschland bei der Personalfrage der Richter rationales System aufgebaut, an dem sich die Regierung, das Parlament und repräsentative Organe der Richter zusammenwirkend beteiligen. Da vor allem die Justizverwaltung inklusive der Personalfrage der Richter als Teil der öffentlichen Verwaltung angesehen wird, ist sie der den Fachgerichten zugeordneten Ministerien zuständig. Anschließend wird die Kontrolle des Parlaments über die Ministerien sichergestellt, die von den Bemühungen um die Gewährung der Sachlichkeit und Gerechtigkeit der Justizverwaltung inklusive der Personalfrage der Richter zeug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