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ㆍ일본의 회사법제 비교 - 이사회 구성 관련 규제 등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German and Japanese company laws - Focusing on regulations related to board composition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4.05
30P 미리보기
독일ㆍ일본의 회사법제 비교 - 이사회 구성 관련 규제 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이론실무연구 / 12권 / 2호 / 359 ~ 388페이지
    · 저자명 : 지광운

    초록

    이사회는 회사의 업무집행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고 이사의 직무 집행을 감독하는 권한을 갖는 이사 전원으로 구성되는 주식회사의 필요적 상설기관이다. 우리나라의 회사법(상법)은 기업의 이사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각종 규제를 두고 있다. 최근에는 회사법 시행령 개정으로 사외이사의 자격제한이나 임기 제한 등 새로운 규제사항이 추가되었다. 그런데 경성규범인 상법에 사외이사의 자격제한 등에 관한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는 결과 우리나라는 이사회의 구성과 운영 면에서 다른 나라에 비해 연성규범을 활용한 규율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외이사 전문성과 자격요건을 연성규범화를 고려하기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측면에서 독일과 일본의 이사회 제도를 관련 규정과 판례 등을 통해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였다.
    독일의 이원적 이사회 제도와 우리나라와 일본의 일원적 이사회 제도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그리하여 독일의 이사회 구조를 우리나라와 직접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다만 독일의 감사회의 사외이사의 자격요건과 독립성은 우리나라의 사외이사의 독립성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즉 사외이사의 자격요건이나 임기를 우리나라의 사외이사 규제와 같이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지 아니하다. 나아가 사외이사의 독립성은 업무집행을 담당하는 이사에 대한 철저한 감독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확보되고 있다. 한편 일본의 경우 상장회사와 대기업에 대하여 선택할 수 있는 지배구조를 세 가지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지배구조 형태를 회사가 선택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감사회설치회사, 감사등위원회설치회사, 지명위원회등설치회사의 경우 사외이사 3인 이상을 반드시 두어야 한다. 이와 같이 사외이사 수에 대한 상법상의 규제는 존재하나, 사외이사의 자격요건 등에 대하여는 CG코드를 통해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사외이사의 전문성과 자격요건을 일본의 경우와 같이 인원수에 대한 제한을 두고 사외이사의 자격요건 등에 대해서는 상법상 규율할 것이 아니라 연성규범을 통해 규율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외이사의 자격요건이나 임기에 대한 규제를 엄격하게 하기 보다는 완화하고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의 규제 설계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board of directors is a necessary permanent organ of a stock company, consisting of all directors who have the authority to make decisions regarding the execution of the company's business and to supervise the execution of duties by the directors. The Korean Commercial Law sets out various regulations regarding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a company's board of directors. Recently, new regulations such as qualification limits and term limits for outside directors have been added in the revision of the Companies Act Enforcement Ordinance. However, as a result of detailed provisions regarding restrictions on the qualifications of outside directors in the Commercial Code, which is the Hard Law, Korea has more restrictive discipline than other countrie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Taking this point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German and Japanese board systems with related regulations and precedents, with the aim of obtaining the necessary advise for considering the ductility of the expertise and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outside directors. We examined the following from a comparative legal perspective.
    There is an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Germany's dual board system and the unified board systems of Korea and Japan. Therefore, it is unreasonable to directly compare Germany's board structure with Japan's. However,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of German audit boards may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in South Korea. In other words,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term of office for outside directors are not strictly regulated as in South Korea's regulations for outside directors. Furthermore, the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is ensured by requiring thorough supervision of directors in charge of business execution.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ree control structures available for listed companies and large corporations. The company will be able to select and operate such a form of control structure. In the case of a company with an audit committee, a company with an audit and supervisory committee, and a company with a nominating committee, etc., a company must have three or more outside directors. Although there are regular legal regulations regarding the number of outside directors, the CG Code provides detailed regulations regarding qualifications for outside directors.
    Even in the case of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regulate the expertise and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outside directors through ductile norms, rather than regulating them by regular law.
    In Korea as well, it needs to be considered that a plan to set limits on the number of outside directors in terms of their expertise and qualifications, as in the case of Japan, and to regulate the qualifications of outside directors through soft law, rather than by hard law.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regulations that ensure the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by relaxing rather than tightening regulations regarding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term of outside direc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이론실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