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 수업 시연에 나타난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발문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Questioning in Demonstrative Science Lesson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1.06
16P 미리보기
과학 수업 시연에 나타난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발문 유형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교육 / 32권 / 2호 / 223 ~ 238페이지
    · 저자명 : 전영석

    초록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실연에서 발문을 분석하여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예비교사 양성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교사 양성기관의 3학년에 재학중인 인문사회계열 심화과정의 예비교사 29명과 자연계열 심화과정의 예비교사 34명이며, 이들은 과학 교재 연구 및 내용지도법과 관련된 동일한 강의를 수강하였다. 강의 과정에서 제작한 동영상을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수업 실연에서 사용한 발문을 Blosser의 발문 분류 기준에 따라 인지·기억적 발문, 수렴적 사고 발문, 확산적 사고 발문, 평가적 발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 실연 과정에서 폐쇄적 발문에 해당하는 인지·기억적 발문과 수렴적 사고 발문을 개방적 발문에 해당하는 확산적 사고 발문 및 평가적 발문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심화과정에 따라 발문의 수와 비율에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인문사회계열 심화과정의 예비교사는 자연계열 심화과정의 예비교사보다 더 많은 수의 발문을 사용하였으며, 확산적 사고 발문의 비율이 높았다. 수업 실연에 대한 동료 평가 점수는 인문 사회계열 심화과정의경우 확산적 질문의 수와 상관이 있었으며 자연계열 심화과정의 경우에는 발문의 총 수와 상관이 있었다. 수업 실연에 대한 동료 평가 및 수업 실연 과정을 심층 분석한 결과, 개방적 발문의 비율이 낮은것은 발문 방법에 대한 정보나 훈련의 부족이라기 보다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 및 수업 실연과 관련하여 형성된 인식에 의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예비교사는 과학 수업 실연에서 개념 및 지식의 습득을 중요하게 다루며, 차시 학습을 확인하고 수업을 전개한 다음, 학습의 결과를 명료화하여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이 잘 구성된 상태로 매끄럽게 연결되어야 하며 학습의 전 과정에서 교사가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의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교과서가 폐쇄적 발문을 통해 인지적 영역에 치우친 학습 목표를 달성하도록 구성되었다는 점도 예비 교사의 발문 형태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science class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by analyzing the question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science class demonstr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29 pre-service teachers in a department related with liberal and social science(department L) and 34 pre-service teachers in a department related with natural science(department S), who were enrolled in the 3rd grade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y took the same lectures on science learning and instruction in elemetary schools. Based on the video clips produced during the lecture, the questions us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 demonstratio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cognitive-memory questions, convergent thinking questions,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and evaluative thinking questions according to Blosser's question classification criteri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e-service teachers used cognitive-memory questions, which correspond to closed questions, and convergent thinking questions, which correspond to closed questions, more than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and evaluative questions, which correspond to open questions, in the course demonstration proces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and distribution of questions by department. Specifically,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L department used more questions and the ratio of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was higher than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S department. Peer evaluation scores on classroom demonstrations were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divergent thinking questions in the L department while correlated with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in the S department. As a result of peer evaluation and in-depth analysis of the classroom demonstr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low rate of open questions was not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or training on questioning methods, but rather the perception formed in relation to elementary school science lessons and classroom demonstrations. Pre-service teachers treat the acquisition of concepts and knowledge as important in the science class demonstration, and the series of processes of confirming the subsequent learning and developing the class, and then clarifying and confirming the learning results, should be smoothly connected in a well-organized state In the whole process, it was shown that the teacher should take the initiative and not deviate from the learning path.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 that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structured to achieve learning goals biased in the cognitive domain through closed questions also had an effect on the questioning patterns of pre-service teac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전